음독구결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놓은 구결. 순독구결 · 음독입겿 · 순독입겿.
이칭
이칭
순독구결(順讀口訣), 음독입겿, 순독입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음독구결은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놓은 구결이다. 순독구결, 음독입겿, 순독입겿이라고도 한다. 구결은 한문의 문장 사이에 우리말의 토를 다는 것으로 석독구결과 음독구결이 있다. 음독구결은 한문의 어순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한문의 각 구절 아래에 토를 단다. 원문의 한자들은 모두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다. 대부분의 음독 구결은 한자의 약체자를 사용하며, 정자를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현존하는 고려말 조선초 음독구결 자료로는 『능엄경』이 대표적이다.

목차
정의
한문을 읽을 때 의미 파악이나 독송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놓은 구결. 순독구결 · 음독입겿 · 순독입겿.
연원 및 변천

고유명사표기에서부터 발달한 차자표기는 문장 차원에서도 우리말에 가깝게 적으려는 노력이 진행된 한편 고려 후기에 접어들면서 한문을 그 자체로 잘 이해하기 위한 방편으로 한문에 토(吐)를 달아 읽는 음독구결이 널리 사용되었다. 과거제도가 확립되고 12공도(公徒)의 사학(私學)의 설립이 한문의 암송과 동시에 그 뜻도 이해할 수 있는 음독구결의 발달에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음독구결은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언해문과는 별도로 한문 원문과 같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내용

구결은 한문의 문장 사이에 우리말의 토를 달아 그 한문이 어떻게 풀이되는지를 보여 주는 것이다. 구결의 특징은 원전에서 구결을 제외했을 때에 남는 것은 한문 원전이라는 것이다. 구결도 차자표기 체계의 일환에 지나지 않는 것이나, 그것은 한문 특히 경서류의 해석, 번역에 집중적으로 적용되었으므로 자연히 향찰이나 이두와는 구별하게 되었다.

구결에는 토를 달고 읽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유형이 있다. 13세기까지는 한문의 원문을 당시의 한국어로 풀어 읽을 수 있도록 특수하게 토를 단 석독구결(釋讀口訣)이 주로 쓰였는데,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 무렵부터는 한문을 그대로 읽되 읽기 쉽도록 각 구절 아래에 우리말의 조사와 어미에 해당하는 토를 단 음독구결(音讀口訣)이 사용되었다.

음독구결은 한문의 어순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한문의 각 구절 아래에 토를 달고 원문의 한자들은 모두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다. 예를 들어 논어의 한 구절 ‘樊遲問仁子曰愛人’에 토를 달아 음독구결로 바꾸면 ‘樊遲 問仁爲隱大 子曰 愛人是尼羅(번지 문인한대 자왈 애인이니라)’가 된다. 여기서 ‘爲隱大/한대’, ‘是尼羅/이니라’가 토인데 이 토를 구결 또는 입겿이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고려말 조선초 음독구결 자료로는 『능엄경(楞嚴經)』이 대표적인데 학계에 보고된 이본만도 20여 종에 달하며 이 중 4종은 『구결자료집(口訣資料集) 1, 2, 3』으로 간행되었다.

이외에도 『남명천화상송증도가』, 『영가진각선사증도가』, 『범망경보살계(梵網經菩薩戒)』,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 『법화경(法華經)』,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丹經)』 등 많은 음독구결이 달린 불경들이 전하며 16세기 이후의 구결 자료에는 유교 경서의 자료가 많이 전하고 있다. 이 중 능엄경, 법화경 등은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언해본과의 비교가 가능하고 이본이 많이 전하고 있어 국어사 연구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음독구결 문헌은 간본인 한문 원전의 행간에 붓으로 구결을 차자로써 표기한 것인데 『서전대문(書傳大文)』,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동몽선습(童蒙先習)』, 『주자증손여씨향약언해(朱子增損呂氏鄕約諺解)』, 『정속언해(正俗諺解)』 등 구결이 같이 인쇄된 간본 자료도 다수 전한다. 이 중 『동몽선습』은 어린이 학습서로서 행간에 정자로 된 구결이 달린 것으로서 ‘만력 정해(萬曆丁亥)’(선조 20, 1587)년에 간행했다는 간기가 있다.

『동몽선습』 등의 일부 문헌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음독 구결은 ‘亻(이: 伊의 일부)’, ‘厂(애: 厓의 일부)’, ‘口(고: 古의 일부)’ 등과 같이 한자의 약체자를 사용하며, 정자를 섞어 사용하기도 한다. 위에서 예를 든 논어 구절을 약체자 구결로 바꾸면 ‘樊遲 問仁 子曰 愛人’와 같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한자 정자나 약체자를 이용한 구결 대신 한글로 구결을 단 경우도 한문을 그 음으로만 읽기 때문에 음독구결이라고 할 수 있지만 보통의 경우에는 차자표기에 의한 음독구결로 한정하고 있다.

2009년에 간행된 『석독(釋讀)구결사전』의 부록에 『음독구결사전』이 전자 파일 형태로 제공되어 있어 음독구결에 나타나는 여러 구결 항목을 조망할 수 있는데 아직 많은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상태이다.

참고문헌

『석독구결사전』(황선엽 외, 박문사, 2009)
『여말선초 음독 입겿(口訣)의 종합적 고찰』(남경란, 경인문화사, 2005)
『중세국어 구결의 연구』(안병희, 일지사, 1977)
「음독구결 연구의 회고와 전망」(남경란, 『구결연구』 21, 2008)
「한국의 구결」(정재영, 『구결연구』 17, 2006)
「구결의 생성 및 변천에 대하여」(심재기, 『한국학보』 1, 1975)
집필자
이병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