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명총람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문헌
1966년부터 1986년까지 한글학회에서 우리나라의 고금 지명을 지역별로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여 간행한 총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66년부터 1986년까지 한글학회에서 우리나라의 고금 지명을 지역별로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여 간행한 총서.
개설

원래 하버드대학의 지원에 의해 연세대학교 동방문화연구소에서 전국 지명 조사가 시작되었지만 사업의 성격을 감안하여, 당시 연세대학교 총장 백낙준과 연세대학교 교수이자 한글학회 이사장이던 최현배의 합의에 의해 1960년부터 한글학회로 조사 기관이 이양되었다. 1964년에 하버드 대학의 지원이 중단되었지만 문교부의 국고 보조금에 의해 조사 사업이 계속 진행될 수 있었다. 1966년에 제1권 ‘서울편’을 펴낸 뒤 1986년에 제18권(경기편 하)을 끝으로 완간하였다.

내용

1965년에 기록한 한글학회 이사장 최현배의 머리말에 따르면, 발간 목적은 다른 고유명사와 달리 군현 단위 이하의 지명에는 우리 옛말이 많이 남아 있는데 이마저도 “노인들에 입에만 남아 있는” 실정이어서 이를 모두 조사함으로써 언어, 문화, 계통론 등의 연구에 활용하고 옛말을 살려 쓰기 위함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맞게 이 총람에는 우리나라 남한의 고금 지명을 종합적으로 모두 찾아 시/도, 시/군, 읍/면, 동/리 별로 엮었다. 서울, 강원, 충북은 1권 1책으로, 충남과 경북은 1권 2책으로, 경북은 3권 4책으로, 전북은 2권 2책으로 하는 등 각 시/도에 따라 제본이 다른데 각 권에서 다루고 있는 지역과 각 권의 발간 연도는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서울편(1966), 2. 강원편(1967), 3. 충북편(1970), 4. 충남편 상 · 하(1974), 5. 경북편 1 · 2(1978), 6. 경북편 3(1979), 7. 경북편 4(1979), 8. 경남편 1(1979), 9. 경남편 2(1980), 10. 경남편, 부산편 3(1980), 11. 전북편 상(1981), 12. 전북편, 하(1981), 13. 전남편 1(1982), 14. 전남편 2(1982), 15. 전남편 3(1983), 16. 전남편, 제주편 4(1984), 17. 경기편 상(1985), 18. 경기편, 인천편 하(1986)

각 권의 내용을 보면 각 시/도 별로 전체적인 조감과 산천을 올리고 하위 행정 단위별로 일람하고 있다. 그리고 각 권마다 일러두기가 있고 그 내용은 20책 전체에 걸쳐 5. 지명 종류 표시의 부호나 6. 참고문헌에서 가감이 있을 뿐 1. 올림말, 2. 지명의 벌임, 3, 풀이 방법, 4. 지도, 사진 붙임의 설명은 똑같아 집필 방법 및 태도가 20년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4권 2책 「충남편 하」에서부터 “이 책은 문교부가 준 국고 보조금으로써 실지 조사하고 옛 문헌을 대조하여 편집 발행하였읍니다. 이에 적어 문교부의 문화 진흥 정책에 의한 후의에 감사함을 표합니다.”라는 사사표기가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의의와 평가

『한국지명총람』의 간행으로 지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가 활기를 띠게 되었으며 1997년에는 ‘한국지명학회’가 창립되기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한국지명연구』(한국지명학회, 한국문화사, 2007)
「〈한국지명총람〉 편찬과 외솔」(외솔회, 『나라사랑』 89, 1994)
집필자
이병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