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소왕사기 ()

유교
문헌
소왕 공자를 추숭(追崇)한 사실과 그와 관련된 의례를 수록하여 1804년(추정)에 간행한 유학서.
정의
소왕 공자를 추숭(追崇)한 사실과 그와 관련된 의례를 수록하여 1804년(추정)에 간행한 유학서.
편찬/발간 경위

별도의 서문과 발문이 없기 때문에 편찬자와 간행 연도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조선의 문묘(文廟)에 배향된 인물로 송준길(宋俊吉)과 박세채(朴世采)가 확인되고, 권말에 ‘갑자추칠월하한태인전이채박치유근상(甲子秋七月下澣泰仁田以采朴致維謹梓)’이라는 간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1804년(순조 4)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의 목판본이다. 표지 서명은 ‘소왕사기(素王事紀)’, 권수제는 ‘신간소왕사기(新刊素王事紀)’, 판심제는 ‘사기(事紀)’이며, 어미는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내용

가장 앞부분에는 전체의 목록과 장보관(章甫冠)을 쓰고 있는 공자의 초상화인 「노사구상(魯司寇像)」, 그리고 『조정광기(祖庭廣記)』에 수록된 공자 관련 기록 즉, 머리털은 헝클어지고, 얼굴은 주름지며, 이마는 달과 같고, 콧마루는 해와 같고, 눈은 움푹 들어갔다는 등 공자가 태어날 때부터 인물이 비범하여 49가지의 특이한 모양을 지녔다는 내용의 글이 채록되었다.

이어서 공자가 일생 동안 방문했던 여러 나라의 이력을 기록한 「선성역빙기년지도(先聖歷聘紀年之圖)」, 공자 이전의 조상들과 공자의 후손들을 간략하게 기록한 「공자세계지도(孔子世系之圖)」, 노(魯)나라 애공(哀公)으로부터 원(元)나라에 이르기까지 공자에게 내려진 시호와 작호를 그림으로 표현한 「역대봉시작호도(歷代封謚爵號圖)」가 수록되었다.

그 다음에는 노나라 때부터 송대(宋代)에 이르는 동안 역대의 공자를 추숭한 일을 기록한 「공자추숭사시(孔子追崇事始)」가 수록되었다. 여기에는 노나라 애공(哀公) 17년에 사당을 건립한 것에 대한 ‘묘(廟)’, 전한(前漢) 고조(高祖)가 노나라를 지나다 공자의 사당에 들러 태뢰(太牢)로 제사를 지낸 것 등을 기록한 ‘사제(祠祭)’, 당나라 태종(太宗)이 모든 주현(州縣)에 공자의 사당을 건립하도록 명령한 것 등을 기록한 ‘주현학(州縣學)’, 당나라 현종(玄宗)이 공자의 제사에 음악을 하사한 것에 대한 ‘사악(賜樂)’, 송나라 휘종(徽宗)이 축문(祝文)을 하사한 것에 대한 ‘반강축문(頒降祝文)’, 전한 고조가 노나라를 지나다 공자의 사당에 제사지내고 공자의 9세손을 봉사군(奉嗣君)에 임명한 것 등을 기록한 ‘습봉(襲封)’ 등 2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으로는 『대명회전(大明會典)』에 기록된 공자 관련 제사 기록인 「대명회전사의(大明會典祀儀)」, 『황조통제(皇朝通制)』에 수록된 공자에 대한 제사 기록인 「공자묘사(孔字廟祀)」가 수록되었다. 「대명회전사의」에는 명 태조가 관원을 보내 공자를 국학에서 제사하게 했다는 기록 등 명나라 때 실행되었던 공자에 대한 제사의 이력과 정단(正壇), 사배위(四配位), 십철위(十哲位), 동무(東廡)와 서무(西廡)의 진설도(陳設圖), 축문(祝文)의 격식 등이 수록되었다.

「공자묘사」에는 1309년 황제의 명으로 매년 봄과 가을에 희생과 음악으로 공자에 대하 제사를 실행하라는 기록과 함께 석존의(釋尊儀)의 신위(神位) 놓는 방법과 주악(奏樂)의 순서와 전명(典名), 음식의 배열과 위관(位官)의 배열도 등이 수록되었다. 마지막에는 「아조문묘향사위(我朝文廟享祀位)」로서 성균관의 대성전(大成殿)과 동‧서의 양무(兩廡)에 묘셔진 중국과 조선의 문묘 배향 인물들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간소왕사기』는 소왕 공자의 생애와 함께 그 학덕과 공덕을 기리며, 추숭과 추존 및 추시(追諡) 등 여러 사적을 시대별로 정리한 문헌이다. 특히 유학의 비조인 공자에 대한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칭송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헌이라는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국역 신간소왕사기』(김세종 역, 보고사, 2008)
「호남지방간행 방각본 연구(1): 태인 손기조 전이채 박치유 간본」(유탁일, 『인문논총』20, 1981)
집필자
오세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