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유표제주소소학집성 ()

유교
문헌
송나라 주희의 『소학』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주석을 모아 편찬한 유학서.
정의
송나라 주희의 『소학』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주석을 모아 편찬한 유학서.
편찬/발간 경위

조선 초기에 유통되던 『소학』 주석서의 주해(註解)가 너무 간략하여 학습용으로 적당하지 않다는 의견에 기반해 주희가 편찬한 『소학』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주석을 모아 명나라 학자 하사신(何士信)이 편찬한 문헌을 조선에서 수입하여 여러 차례 간행하였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1427년(세종 9)에 처음 목판본으로 간행되었고, 1428년에 연속하여 활자본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영조가 『소학훈의(小學訓義)』를 간행하는 작업에 참여했던 박필주(朴弼周)의 건의를 받아들여 세종 때 간행되었던 『소학집성』의 오탈자를 교정하여 1744년(영조 20) 중간하기도 했다.

서지적 사항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1책(BA1256-50)은 1436년(세종 18)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간행한 것으로 제1권에 해당하는 영본(零本)이다. 규장각에 소장된 4건은 ‘영조 20년 전주감영에서 간행했다.(命弘文館令完營刊進甲子二月)’ 라는 간기(刊記)가 기록된 목판본 2건(奎中 519, 一簑古 181.1-So25s)과 간행 연대 미상의 2건(古 3915-2, 古 181.1-H11s)으로 구분된다. 10권 5책의 규장각 소장본(奎中 519)에는 ‘홍재(弘齋)’와 ‘승화장규(承華藏圭)’라는 정조(正祖)의 장서인이 찍혀 있다. 권수제는 ‘표제주소소학집성’이고, 판심제는 ‘소학집성’이다.

내용

제1책에는 「소학서도(小學書圖)」와 「소학강령(小學綱領)」 그리고 주희가 지은 『소학』의 서문과 제사(題辭)가 수록되었다. 제2책에는 교육의 원칙을 제시한 입교(立敎)와 부자(父子)와 군신(君臣)과 부부(夫婦)와 장유(長幼)와 붕우(朋友) 사이의 도리를 언급한 명륜(明倫), 제3책에는 명륜(明倫) 하(下)와 몸가짐을 공경히 할 것을 제시한 경신(敬身), 제4책에는 춘추시대 이전 성현의 자취를 고찰한 계고(稽古)와 한대(漢代) 이후의 격언과 가훈(家訓)을 제시한 가언(嘉言), 제5책에는 가언(嘉言) 하(下)와 훌륭한 행실을 제시한 선행(善行)이 수록되었다.

「입교」에는 「제자수업(弟子受業)」·「부검벽이(負劒辟咡)」·「향구총(鄕逑總)」·「숙상서(塾庠序)」·「천자오학(天子五學)」·「제후반궁(諸侯泮宮)」·「향음주례(鄕飮酒禮)」·「가관례혼례(加冠禮昏禮)」·「오복(五服)」 등이 수록되었다. 「명륜」에는 「자사부모(子事父母)」·「부사구고(婦事舅姑)」·「세자문침(世子問寢)」·「자부상약(子婦嘗藥)」·「시사약시(侍射約矢)」·「시투옹시(侍投擁矢)」 등이 수록되었다. 「경신」에는 「심의(沈衣)」·「예기(禮器)」·「군자패옥(君子佩玉)」·「현담굉연(玄紞紘綖)」·「동자복용(童子服用)」·「돈모치이(敦牟巵匜)」·「금반광순휘이(衿鞶筐筍楎椸)」 등과 함께 그림과 해설이 수록되었다. 「소학강령」에는 주희 외에 3∼4명의 논설이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에는 1429년(세종 11) 정인지(鄭麟趾)가 지은 발문이 실려있다.

의의와 평가

『제유표제주소소학집성(諸儒標題註疏小學集成)』은 『소학집설(小學集說)』, 『소학집주(小學集註)』 등과 함께 조선에서 간행되어 널리 유통되었던 『소학』의 주석서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세종대에 수입된 직후 몇 차례의 간행을 통해 대규모로 유통되었던 문헌이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소학』 관련 연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소학(小學)』
『소학집설(小學集說)』
『소학집주(小學集註)』
「규장각 소장 『소학』의 계통과 특징: 조선에서의 간본을 중심으로」(정호훈, 『한국문화』74, 2016)
「숙종∼영조대의 세자 교육과 『소학』: 규장각 소장 『소학』 관련 서적의 분석」(윤정, 『규장각』27, 2004)
집필자
오세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