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성리음 ()

유교
문헌
송나라의 유학자, 주희가 육경과 사서 가운데 중요한 구절을 선별하고 뜻을 요약하여 지은 시를 수록한 시문집.
정의
송나라의 유학자, 주희가 육경과 사서 가운데 중요한 구절을 선별하고 뜻을 요약하여 지은 시를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홍계희(洪啓禧, 1703∼1771)는 청나라 학자 장백행(張伯行)이 편찬한 『양정유편(養正類編)』에 수록된 주자의 시 중에서 『주자대전(朱子大全)』에 누락된 것들을 선별하고, 명나라 고반룡(高攀龍)이 지은 서문을 부쳐서 1753년(영조 29) 『주자성리음(朱子性理吟)』의 판각을 마쳤다. 그런데 판각이 끝난 후 우연히 홍문관에 소장되어 있는 『주자습유(朱子拾遺)』에 이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둘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곳이 많다는 것을 확인한 후, 수정사항에 해당하는 「고이(考異)」를 첨부하여 1754년에 다시 간행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의 목판본으로, 규장각 소장본(古 1344-33)에는 ‘은진송상병선중도서(恩津宋商柄善仲圖書)’라는 장서인이 있다.

내용

고반룡이 지은 서문인 「주자성리음서(朱子性理吟序)」, 141수의 시로 구성된 본문‚ 1753년 홍계희가 지은 발문‚ 「고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에는 ‘도체(道體)’라는 편명(篇名) 아래 「천(天)」·「귀신(鬼神)」·「명(命)」·「도(道)」·「연비어약(鳶飛魚躍)」·「인심도심(人心道心)」·「중용(中庸)」·「선천도(先天圖)」·「태극도(太極圖)」 등, ‘위학(爲學)’이라는 편명 아래 「소학(小學)」·「하학상달(下學上達)」·「물망물조장(勿忘勿助長)」·「계근공구(戒謹恐懼)」·「야기(夜氣)」·「구사(九思)」 등, ‘성현(聖賢)’이라는 편명 아래 「절사(絶四)」·「극기(克己)」·「욕기(浴沂)」·「삼성(三省)」 등, ‘경계(警戒)’라는 편명 아래 「양지(良知)」·「위인(爲人)」 등의 칠언절구(七言絶句) 93수가 수록되었다.

제2권에는 ‘도체’라는 편명 아래 「음양(陰陽)」·「변화(變化)」·「사덕(四德)」·「명(命)」·「심(心)」·「도심(道心)」·「인심(人心)」·「성(性)」·「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사단(四端)」 등, ‘위학’이라는 편명 아래 「야기」·「근독(謹獨)」·「구방심(求放心)」·「명명덕(明明德)」·「지지선(止至善)」·「격물(格物)」·「중화(中和)」·「충서(忠恕)」 등, ‘진분(盡分)’이라는 편명 아래 「군도(君道)」·「황극(皇極)」·「상도(相道)」·「사도(師道)」·「이도(吏道)」 등, ‘희성(希聖)’이라는 편명 아래 「천형(踐形)」·「성(誠)」·「신(神)」 등의 칠언율시(七言律詩) 48수가 수록되었다.

「고이」는 홍계희가 『주자성리음』 판각을 마친 후 홍문관에 소장되어 있는 『주자습유』를 보고 거기에 수록된 주자의 시와 본 문헌의 시에 차이가 있음을 알고 그 차이를 기록한 것이다. 「고이」의 끝에는 판각 이후 『성리음』의 진위 여부에 대한 각각의 논점을 정리하고‚ 홍계희 자신의 견해가 바뀐 경위를 기록하며 1754년에 지은 짧은 발문이 수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주자성리음』은 주자의 가르침을 존숭했던 조선의 유학자들이 학문에 들어가는 초반의 시기에 주자의 학문 요체를 시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는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홍계희가 발문에서 지적했듯이 문장이 도를 싣는 도구라는 재도지구(載道之具)의 관점에서 문장을 통한 성리학의 학습을 지향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참고문헌

「홍계희의 편찬 및 간행 활동과 도통 의식」(신항수, 『역사와 담론』66, 2013)
집필자
오세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