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천노씨 가학십도 ( )

풍천노씨가학십도
풍천노씨가학십도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노광두와 노광리가 풍천노씨 역대 조상들의 학문과 언행을 그림과 글로 정리하여 1847년경에 간행한 행장. 가훈서.
정의
조선후기 문신 노광두와 노광리가 풍천노씨 역대 조상들의 학문과 언행을 그림과 글로 정리하여 1847년경에 간행한 행장. 가훈서.
개설

조선 중기의 문인 노진(盧禛, 1518∼1578)의 후손인 노광리(盧光履)가 가학(家學)에 도움이 되게 하려는 목적으로 풍천노씨의 조상 중에서 16명의 언행과 유훈‚ 학문 등을 모아서 그림과 글로 정리한 문헌이다.

편찬/발간 경위

풍천노씨의 일원인 노광리와 노광두(盧光斗, 1772∼1859)가 주도하여 1847년경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풍천노씨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효제(孝悌)의 가풍을 돈독히 하기 위해 이황(李滉)이 지은 『성학십도(聖學十圖)』를 모범으로 삼아 『풍천노씨가학십도(豊川盧氏家學十圖)』를 간행한다고 편찬 목적을 밝혔다.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의 목판본이다. 권수제(卷首題)는 ‘풍천노씨가학십도’, 판심제(版心題)는 ‘가학도(家學圖)’이다. 앞부분에는 1847년(헌종 13)에 홍직필(洪直弼), 정홍경(鄭鴻慶), 최황(崔璜)이 지은 3편의 서문이 있고‚ 끝부분에는 1846년에 쓴 노석장(盧錫璋)이 지은 발문과 1847년 노광두가 지은 발문이 있다.

내용

앞부분에 전체에 수록된 그림과 그에 대한 부연 설명을 기록한 노광리의 글이 수록되었다. 모두 14편의 도설(圖說)이 수록되었는데, 첫 번째는 노숙동(盧叔仝, 1403∼1463)에 대한 「송재공성신염공근간화혜도(松齋公誠信廉公勤簡和惠圖)」, 두 번째는 노분(盧昐, 1437∼1478)에 대한 「졸존재공청신염결절필훈도(拙存齋公淸愼廉潔絶筆訓圖)」, 세 번째는 노우명(盧友明, 1471∼1523)에 대한 「신고당공중용도(信古堂公中庸圖)」, 네 번째는 노상(盧祥)에 대한 「졸재공낙도림천도(拙齋公樂道林泉圖)」, 다섯 번째는 노진에 대한 「옥계공신의도(玉溪公申義圖)」, 여섯 번째는 노관(盧祼, 1522∼?)에 대한 「도암공효우학문도(徒庵公孝友學文圖)」, 일곱 번째는 노사예(盧士豫, 1538∼1594)‧노사상(盧士尙, 1559∼?)·노사계(盧士戒)에 대한 「홍와우계추담공이효위충도(弘窩迂溪秋潭公移孝爲忠圖)」, 여덟 번째는 노사회(盧士誨)에 대한 「습열당공견수봉강각근봉직도(習悅堂公堅守封疆恪勤奉職圖)」, 아홉 번째는 노건(盧腱)에 대한 「피구옹고결준정불부세리도(披裘翁高潔峻整不附勢利圖)」, 열 번째는 노주(盧冑)에 대한 「풍고공당인불양견의즉용도(風皐公當仁不讓見義則勇圖)」, 열한 번째는 노형운(盧亨雲)에 대한 「소암공효제충신례의염치도(素庵公孝悌忠信禮義廉恥圖)」, 열두 번째는 노형필(盧亨弼)에 대한 「운제공정주격언도(雲堤公程朱格言圖)」, 열세 번째는 노홍기(盧弘器, 1589∼1647)에 대한 「하빈공분신투소항의절봉도(河濱公奮身投疏抗義折鋒圖)」, 마지막 열네 번째는 노형규(盧亨葵)에 대한 「정양재공능천역능인도(靜養齋公能天亦能人圖)」이다.

도설이 먼저 제시되고 그 다음에 선유들의 성리학에 대한 여러 언설들을 간략하게 제시한 후 이어 도설 제작에 바탕이 된 유훈과 언행을 남긴 조상들의 이력을 묘지, 행장, 군지(郡誌), 유행록(儒行錄) 등에서 추출하여 기록했다. 마지막에 수록된 발문 뒤에 「방의성도(防意城圖)」와 「신명사도(神命舍圖)」의 도설 2편이 추가되어 있는데‚ 태극도(太極圖)의 형태를 본떠서 ‘천(天)-의(意)-명(命)-성(性)’의 관계를 정리한 그림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풍천노씨 가학의 형성 과정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19세기 영남지역의 가문들이 성리학의 절의론(節義論)에 기반하여 가문의식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감모재집(感慕齋集)』
「18세기 가학 전승과 문중서당」(이욱, 『국학연구』18, 201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오세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