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명이학명신언행록 ()

유교
문헌
명나라 학자 양렴이 이학과 명신들의 생애와 학문을 정리하여 편찬한 유학서.
정의
명나라 학자 양렴이 이학과 명신들의 생애와 학문을 정리하여 편찬한 유학서.
편찬/발간 경위

양렴이 지은 서문에 의하면 기존에 송나라의 인물들을 대상으로 주자가 편찬한 『명신언행록(名臣言行錄)』과 이사영(李士英)이 편찬한 『도학명신언행록(道學名臣言行錄)』이 있었는데‚ 양렴이 이 저술들을 모방하여 명나라 인물들을 대상으로 『황명명신언행록(皇明名臣言行錄)』을 편찬한 후 『황명이학명신언행록(皇明理學名臣言行錄)』을 편찬했다.

1562년(명종 17) 이정(李楨, 1512∼1571)이 지은 발문에 의하면 이황(李滉)이 직접 베껴 쓴 『이학록(理學錄)』을 구해보고 이를 저본으로 하여 간행했다고 했는데, 이때 이정이 본 이황의 수서본(手書本)은 초간본을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의 목판본이다. 규장각에 소장된 4건의 『황명이학명신언행록』은 초간본(奎中 2245, 奎中 2248)과 중간본(奎中 1761, 奎中 1762)으로 구분되는데, 수록된 글의 차이와 본문의 전체적인 구성 등을 종합해 보면 형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중간본이 더욱 정돈된 모습을 보인다.

내용

양렴은 풍성인(豊城人)으로 자는 방진(方震)‚ 호는 월호(月湖)이다. 부친이 오여필(吳與弼)의 문인 호구소(胡九韶)에게 배웠고 양렴은 그러한 부친을 통해 가학을 계승했다. 성화(成化) 연간 말기에 진사시에 합격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고, 세종(世宗) 즉위 후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임명되었다.

『황명이학명신언행록』에 수록된 15명의 이학(理學)과 명신(名臣)들 목록은 다음과 같다. 권1에는 설선(薛宣)에 대한 「경헌선생시랑설공선(敬軒先生侍郞薛公瑄)」‚ 오여필(吳與弼)에 대한 「강재선생빙군오공여필(康齋先生聘君吳公與弼)」‚ 진진성(陳眞晟)에 대한 「포의선생진공진성(布衣先生陳公眞晟)」‚ 진헌장(陳獻章)에 대한 「백사선생검토진공헌장(白沙先生檢討陳公獻章)」‚ 호거인(胡居仁)에 대한 「경재선생호공거인(敬齋先生胡公居仁)」‚ 진선(陳選)에 대한 「극암선생포정진공선(克菴先生布政陳公選)」이 수록되었다.

권2에는 장원정(張元禎)에 대한 「동백선생시랑장공원정(東白先生侍郞張公元禎)」‚ 나륜(羅倫)에 대한 「일봉선생수찬나공륜(一峯先生修撰羅公倫)」‚ 주영(周瑛)에 대한 「취거선생포정주공영(翠渠先生布政周公瑛)」‚ 장애(莊昹)에 대한 「정산선생낭중장공애(定山先生郎中莊公昹)」‚ 황중소(黃仲昭)에 대한 「미헌선생첨사황공중소(未軒先生僉事黃公仲昭)」‚ 장무(章懋)에 대한 「풍산선생상서장공무(楓山先生尙書章公懋)」‚ 장길(張吉)에 대한 「고성선생포정장공길(古城先生布政張公吉)」‚ 채청(蔡淸)에 대한 「허재선생제주채공청(虛齋先生祭酒蔡公淸)」‚ 추지(鄒智)에 대한 「입재선생이목추공지(立齋先生吏目鄒公智)」가 수록되었다.

이중에서 설선‚ 오여필‚ 진선‚ 나륜의 4명이 이미 『황명명신언행록』에 수록되어 있다가 다시 중복하여 편입된 인물들이라면, 나머지 11명은 이 책을 편찬하면서 새로 편입된 인물들이다.

본문의 구성은 각 인물별로 설정된 항목에 해당 인물의 이름으로 표제를 단 후 그의 생애를 주로 약력을 중심으로 간략히 소개하는 도입 부분이 있고‚ 다음으로는 그와 연관된 다양한 문헌으로부터 해당 인물의 인품과 학문에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편집하는 방식을 취했다.

의의와 평가

『황명이학명신언행록』은 황종희(黃宗羲)가 편찬한 『명유학안(明儒學案)』이 출현하기 이전에 명나라 학자의 관점에서 정리된 명나라 유학사 저술이라는 점, 그리고 16세기 조선 사회에서 성리학이 학습되는 과정에서 이황과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주목받았던 저술이라는 점에서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황명명신언행록(皇明名臣言行錄)』
「구암 이정의 도서간행에 관한 연구」(안현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42, 2011)
집필자
오세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