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 ( · )

의생활
의복
문화재
16세기 중후반기에, 살았던 구성이씨(駒城李氏)와 여흥이씨(驪興李氏)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등 유물 일괄.
이칭
약칭
구성이씨, 여흥이씨 묘 출토복식
의복
재질
제작 시기
16세기 중·후반
관련 의례
상장례
소장처
수원박물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재(2021년 6월 2일 지정)
소재지
수원박물관
내용 요약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묘 출토복식은 16세기 중후반기를 살았던 구성이씨(駒城李氏)와 여흥이씨(驪興李氏)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등 유물 일괄이다. 2010년 경기도 오산시 가장 지구 문화재 발굴 조사 과정에서 출토되었다 구성이씨의 묘에서는 41건 51점, 여흥이씨의 묘에서는 55건 73점이 수습되어 총 96건 124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16세기 중후반 양반 가문 여성의 다양한 복식과 상장속(喪葬俗)을 엿볼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어 2021년 6월 2일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 수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16세기 중후반기에, 살았던 구성이씨(駒城李氏)와 여흥이씨(驪興李氏)의 묘에서 출토된 복식 등 유물 일괄.
연원

오산 구성이씨(駒城李氏)와 여흥이씨(驪興李氏) 묘 출토복식(出土服飾)은 2010년 5월 경기도 오산시 가장 지구 문화재 발굴 조사 과정에서 16세기 중후반 시기로 추정되는 2기의 무연고 회격묘(灰隔墓)가 발견되어 복식 전문가가 참여하여 염습 과정을 기록하며 총 96건 124점 주2 여인의 복식 유물과 미라가 출토한 사례이다. 각각의 관(棺) 위에 놓여 있던 명정(銘旌)에 쓰여진 ‘유인구성이씨지구(孺人駒城李氏之柩)’, ‘의인여흥이씨지구(宜人驪興李氏之柩)’라는 묵서로 무덤의 주인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복식은 신체 크기와 상관없이 옷 품이 매우 크고 넓은 형태를 보여 조선 중기에 유행한 복식 특징을 보여 주3의 활동 시기를 16세기 중후반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구성이씨 관에서는 41건 51점, 여흥이씨의 관에서 55건 73점을 수습하였다. 유물 중 조선 전기의 단령(團領)원삼(圓衫), 당저고리[唐赤古里], 주4, 그리고 자수 바늘꽂이[노리개] 등을 통해 당시 상류 사회 여성의 의생활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철릭과 액주름 등 남성 복식도 발견되었다. 여흥이씨가 머리에 쓰고 있었던 가리마는 당시의 착장법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2021년 6월 2일에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에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 번호가 일괄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수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용도

구성이씨의 묘에서는 총 51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종류는 단령형 원삼 1점, 대대 1점, 장옷[長衣] 5점, 장저고리[長赤古里] 8점, 단저고리[短赤古里] 5점, 적삼 1점, 남자 저고리 1점, 치마 5점, 주5 1점, 철릭[貼裏] 1점, 주6 1점, 주7 1점, 주8 1점, 주9 2점, 소낭(小囊) 3점, 주10 1점, 관내 배접천 1점, 주11 1점, 명정(銘旌) 1점, 현(玄) 1점, 훈(纁) 1점, 지요(地褥) 1점, 삽(翣) 4점, 소매 조각 2점이다.

단령형 원삼은 조선 전기에 여성이 의례복으로 입은 옷으로, 남성의 단령과 비교하여 둥근 깃은 같으면서 짧은 소매와 주12형 무에서 형태 차이를 보이는 옷이다. 구성이씨의 단령형 원삼은 몸판은 운보 주37, 옷고름은 명주로 만든 홑옷으로, 가장 겉에 착장하고 있던 수의이다. 저고리류에는 단저고리와 장저고리, 적삼이 있는데, 주13이 모두 주14 형태이며 옷품이 매우 넓고 옷고름은 짧고 좁다. 이 가운데 장저고리 1점은 깃, 섶, 무, 앞길과 뒷길의 하단부를 연화보문(蓮花寶文) 직금단(織金段)을 사용하고 몸판 상부는 소화문단을 사용하여 화려하게 만들었는데, 재질로 보아 당저고리(당의의 전신)에 해당하는 옷이다. 당저고리는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덧입는 길이가 긴 의례용 옷이다. 짧은 저고리의 경우도 50㎝ 내외의 길이여서 입었을 때 옷 품이 넉넉하고 둔부를 가리게 되므로 치마는 허리춤에 입는다. 5점의 치마 중 3점은 접음단 치마형이고 나머지는 전단후장(前短後長)형 거들치마이다. 이 중 하나는 주15으로 된 쌍스란 치마인데, 연화보문단 치마 바탕에 동자 무늬 직금 스란단을 장식하고 명주 허리말기를 달아 만든 전단후장의 의례용 홑치마이다. 이외에 수례지의(襚禮之衣, 죽은 이의 묘에 가족이나 지인의 옷을 넣어준 것)로 사용된 철릭과 남성용 저고리도 있다. 구성이씨 묘 출토복식은 직금단(織金緞), 연화만초문단(蓮花蔓草紋緞), 세화만초문단(細花蔓草紋緞), 주16, 운보문단(雲寶文緞), 운보문사(雲寶文絲), 공단(貢緞), 주(紬) 등 다양한 재질의 옷감이 사용되었으며, 홑, 겹, 솜, 솜누비 옷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흥이씨의 묘에서는 총 73점의 복식이 출토되었다. 종류는 주29 3점, 장저고리 4점, 저고리 6점, 적삼 2점, 접음단 치마 3점, 평치마 1점, 전단후장형 치마 1점, 주30 6점, 주31 2점, 액주름 1점, 철릭 2점, 가리마 1점, 자수바늘집 노리개 1점, 귀이개 1점, 주32 1점, 주33 1점, 솔 1점, 버선 1점, 주34 2점, 멱목 1점, 주35 1점, 소렴교(小斂絞) 5점, 주36 1점, 대렴교(大斂絞) 6점, 소낭 3점, 관내 배접천 1점, 현 1점, 훈 1점, 구의 1점, 명정 1점, 돗자리 1점, 지요 1점, 머리카락뭉치 3점, 삽 4점이다. 재질은 무명, 모시, 삼베, 명주를 두루 사용하였으며 홑, 겹, 솜, 솜누비 옷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흥이씨는 수의로 상의는 주19, 주20, 장저고리 2점을 착장하고 하의는 주21 2점, 누비 개당고 1점, 주22 1점, 주23 1점을 차례로 착장하였다. 특히 머리에는 가리마[加里亇]로 머리를 덮은 후 2갈래 땋은 머리를 가리마 위로 돌려 착장한 모습이었다. 가리마는 조선시대 여성들이 쓴 주24의 한 종류로 이마에서부터 머리를 덮어 뒤로 드리워 착용하는 납작한 주25 형태가 특징이다. 여흥이씨가 쓰고 있었던 가리마 유물은 주26 기운이 남아 있는 직사각형 연화 문단에 종이를 주27여 길이 반을 접어 주28듯이 붙인 직사각 형태의 머리쓰개이다. 조선 후기의 가리마보다는 크기가 다소 작은 편이다. 바지 중에는 어깨끈이 달린 합당고도 있다. 이외에 수례지의로 사용된 양소매 탈착식 철릭, 액주름 등 남성용 복식이 있다.

여흥이씨 묘 출토복식은 전체적으로 구성이씨와 비교하여 수량은 많으나 직물이 소박하고 복식의 종류도 적으며 묘주가 착장한 수의의 종류도 단순한 편이다.

의의 및 평가

여주 구성이씨와 여흥이씨의 묘는 무연고라는 한계점은 있으나, 발굴 기관, 복식 전공자, 주17 연구자 등 전문가에 의해 유물 수습과 보존 처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점에서 가치가 높다. 출토된 복식은 수백 년 동안 땅속에서 자연의 영향으로 퇴화되어 원래의 색상을 잃었지만 옷의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어 당시 양반가 중상층의 복식 제도와 상장속(喪葬俗)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경기도 오산 출토 조선 초기 여흥이씨·구성이씨 묘 출토복식』(부산대학교, 2012)
수원박물관, 『경기도 오산 여흥이씨, 구성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2015)
수원박물관, 『수원 지역의 개발과 보존』(2022)

논문

정고은, 「조선시대 여자 가리마의 실증적 고찰」(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주석
주1

연고나 연고자가 없음. 우리말샘

주2

양반의 집안. 우리말샘

주3

무덤의 주인. 우리말샘

주4

스란을 단 긴치마. 폭이 넓고 입었을 때 발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길다. 우리말샘

주5

밑바대가 없이 밑이 트인 바지. 우리말샘

주6

운명한 다음 날, 시신에 수의를 갈아입히고 이불로 쌀 때, 시체의 얼굴을 싸매는 헝겊. 천으로 네모지게 만드는데, 겉과 안을 흰색으로 하거나 겉은 검은빛, 속은 남색으로 하기도 하며 네 귀에 끈을 매단다. 우리말샘

주7

여자가 쓰는 모자. 우리말샘

주8

운명한 다음 날, 시신에 수의를 갈아입히고 이불로 쌀 때에 시체의 손을 싸는 헝겊. 우리말샘

주9

염습(殮襲)할 때 시체에 신기는 종이로 만든 신. 우리말샘

주10

대렴에 쓰는 이불. 우리말샘

주11

출관(出棺)할 때 관 위에 덮는 베. 길이가 길고 색깔은 누런빛이다. 우리말샘

주12

접었다 폈다 하게 된 부채. 우리말샘

주13

겉으로 드러난 옷깃. 우리말샘

주14

격에 어울리지 않게 넓적하게 단 옷깃. 우리말샘

주15

남빛 바탕에 은실이나 금실로 봉황과 꽃의 무늬를 섞어 짠 직물. 흔히 스란치마 자락의 끝에 두른다. 우리말샘

주16

구름무늬를 놓은 비단. 우리말샘

주17

병이나 기형(畸形)의 형태나 기능을 조사하여 그 성립 원리와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 의학의 한 분야로, 병리 해부학ㆍ병리 화학ㆍ비교 병리학ㆍ실험 병리학ㆍ병리 생리학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9

윗도리에 입는 홑옷. 모양은 저고리와 같다. 우리말샘

주20

누벼서 만든 저고리. 우리말샘

주21

홑겹으로 지은 바지. 우리말샘

주22

누벼서 만든 치마. 우리말샘

주23

안에 솜을 두어서 지은 치마. 우리말샘

주24

여자들이 머리 위에 쓰는 수건, 장옷, 너울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5

책을 넣어 둘 수 있게 책의 크기에 맞추어 만든 작은 상자나 집. 우리말샘

주26

청금석의 빛깔과 같이 검은색을 띤 푸른색. 우리말샘

주27

종이, 헝겊 또는 얇은 널조각 따위를 여러 겹 포개어 붙이다. 우리말샘

주28

바느질을 할 때 천을 맞대어 듬성듬성하게 대강 호다. 우리말샘

주29

예전에, 여자들이 나들이할 때에 얼굴을 가리느라고 머리에서부터 길게 내려 쓰던 옷. 초록색 바탕에 흰 끝동을 달았고, 맞깃으로 두루마기와 비슷하며, 젊으면 청ㆍ녹ㆍ황색을, 늙으면 흰색을 썼다. 본래는 여성들의 겉옷으로 입다가 양반집 부녀자들의 나들이옷으로 변하였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새색시의 결혼식 예복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30

밑바대를 대어 밑이 막힌 바지. 우리말샘

주31

밑바대가 없이 밑이 트인 바지. 우리말샘

주32

빗살이 굵고 성긴 큰 빗. 우리말샘

주33

빗살이 아주 가늘고 촘촘한 빗. 우리말샘

주34

염습(殮襲)할 때 시체에 신기는 종이로 만든 신. 우리말샘

주35

소렴할 때에 시체를 싸는 이불. 우리말샘

주36

대렴에 쓰는 이불. 우리말샘

주37

날실과 씨실에 모두 생사를 사용하여 올이 성기게 짠 무늬 있는 생견. 얇고 가벼워 여름철 옷감으로 쓰인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은주(안동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