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록사(食祿史)
고려시대의 이직(吏職). # 개설
신라 말 고려 초에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했던 호족(豪族)들은 983년(성종 2) 향리직제(鄕吏職制)의 성립으로 그 지위를 상실하고 점차 향리로 전환되었다. 이 때 개편된 향리직제의 최하위직은 사(史)였다.
# 변천과 현황
이후 1018년 (현종 9) 지방세력에 대한 구체적인 통제책이 단행되어, 주·현(州縣)의 대소(大小)를 정(丁)의 다과에 따라 나누면서 향리의 숫자를 정하였다. 즉, 주·부(府)·군(郡)·현의 경우 1,000정 이상은 6인, 500정 이상은 4인, 300정 이상도 4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