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목체 ()

조선시대사
개념
역사를 연 · 월 · 일순에 따라 강과 목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역사를 연 · 월 · 일순에 따라 강과 목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개설

줄거리 기사를 큰 글씨로 쓴 것을 ‘강(綱)’이라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내용을 ‘목(目)’이라 한다.

연원 및 변천

강목체 역사 서술의 시원은 『춘추(春秋)』에서 비롯된다. 공자(孔子)가 쓴 노나라 역사인 『춘추』는 내용이 간결하여 이를 강으로 보고, 그 설명서라고 할 수 있는 『좌전(左傳)』 · 『공양전(公羊傳)』 · 『곡량전(穀梁傳)』을 목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강목체는 주희(朱熹)에 의해 체계가 잡혔다. 주희는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자료로 이용하여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편찬하였다.

내용

강목의 구분에서는 성리학적 도덕이 주요 평가 기준이다. 기술(記述)을 통해 역사의 가치 평가를 내리려는 시도가 가해진 것이다. 정통과 명분을 중시하고 문자 표기로 포폄을 하려는 것으로, 서술 원칙에 자세한 범례가 제시된다.

우리나라 강목체의 역사 서술로는 고려시대 민지(閔漬)가 편찬한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이 있다. 그러나 이 책은 현전하지 않아 그 내용과 형식을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이 형식에 의한 역사 서술은 성리학 이론이 크게 심화된 17세기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홍여하(洪汝河)『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 유계(兪棨)『여사제강(麗史提綱)』, 임상덕(林象德)『동사회강(東史會綱)』, 안정복(安鼎福)『동사강목(東史綱目)』, 민경호(閔京鎬)『대동사강(大東史綱)』 등이 강목체를 따랐다. 이들의 범례는 『자치통감강목』의 범례를 많이 원용하고 있다.

역사나 인물에 대한 성리학적 평가가 문자의 표기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 형식을 따른 역사 서술은 일반적으로 사론(史論)을 많이 쓰지 않는 편이다. 그러나 안정복의 『동사강목』은 고증적인 내용을 사론으로 많이 담고 있어 특이한 예외라 할 것이다.

의의와 평가

강목체에서 강조되는 역사 정신은 춘추대의의 명분이다. 명분을 지키는 것을 이상으로 여기며, 참월(僭越: 자신의 분수에 넘치게 외람됨)한 자와 난신적자(亂臣賊子)를 응징하려는 뜻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참고문헌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