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응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호분위 좌부장, 경상좌도 병마우후를 역임한 무신.
이칭
중성(仲星)
일성(日省)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4년(명종 9)
사망 연도
1597년(선조 30)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호분위 좌부장|경상좌도 병마우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권응심은 경상좌도 신령(新寧) 출신으로, 종형 권응수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을 탈환하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수문장에 제수되었고, 문경과 안동의 일본군을 격퇴하기도 하였다. 정유재란 때 울산 도산의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던 중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정의
조선시대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호분위 좌부장, 경상좌도 병마우후를 역임한 무신.
가계 및 인적 사항

고조할아버지는는 광주목사를 지낸 권열(權挒)이고, 증조할아버지는 권처정(權處貞)으로 호조참의에 증직되었다. 할아버지는 권붕(權鵬)이다. 아버지는 권덕온(權德溫)이고,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어려서부터 담략(膽略)이 있고 말을 타고 활쏘기를 잘하였다. 밀양박씨 사직(司直) 한추(韓樞)의 딸과 혼인하였다.

주요 활동

1592년(선조 25) 4월 23일 일본 제2군 선봉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경상좌도 영천으로 진격해 왔다. 이날 가토 기요마사의 군은 안동, 신녕, 의흥, 군위, 비안 등 여러 성을 점령하였다. 일본군은 점령지에 일부 병력을 주둔시키고 북상하였다. 이후 경상도 각지에서 의병이 봉기하였다. 권응심은 종형제 권응수(權應銖), 권응전(權應銓)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권응심은 크고 작은 수십 차례의 전투에서 전공을 세웠다. 영천의 대동(大同)과 한천(漢川)에서 일본군을 격퇴하고, 박연(朴淵)과 소계(召溪)까지 진격하였다. 그는 영천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화공으로 공격하여, 영천성을 탈환하는 데 전공을 세웠고, 그 공로로 수문장에 제수되었다. 그는 문경과 안동의 일본군을 격퇴하기도 하였다. 경주 황룡사 아래에서 일본군을 격퇴하고, 수급을 왕세자의 행궁에 바쳤다. 이에 선조는 권응심을 병졸교위(秉節校尉) 호분위 좌부장에 제수하였다.

얼마 후 권응심은 훈련원(訓練院) 주부(主簿)로 승진하였다. 1594년(선조 27) 식년 무과에 급제하여 어모장군(禦侮將軍) 훈련원 정(正)에 제수되었다. 그는 정유재란 때 명(明) 경리(經理) 양호(楊鎬) 휘하에 소속되었고, 경상좌도 병마우후에 제수되었다. 양호와 함께 울산 도산(島山)에서 일본군을 공격하다가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1814년(순조 14) 효충장의 적의평난 선무공신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훈련원 도정에 추증되었다. 숙부인 박씨는 정부인에 추징되었다. 1817년(순조 17) 구천서원에 추배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백운재실기(白雲齋實記)』
『순조실록(純祖實錄)』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일성공실기(日省公實記)』

논문

장준호, 「임진왜란시 영천성(永川城) 수복 전투와 그 의의」(『청계사학』 22, 청계사학회, 202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