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250㎝.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부도의 기단은 상 · 중 · 하대로 구성되었는데, 하대와 상대에는 세 겹의 연꽃무늬가 덮여 있고, 중대는 팔각형이지만 거의 원형에 가깝다.
탑신석 또한 기단 중대석과 마찬가지로 팔각형이나 가운데가 조금 볼록 나와 있다. 탑신은 일반적으로 통일신라시대의 부도에서 볼 수 있는 문비(門扉 : 문짝)와 자물통 · 사천왕상 등과 같은 장식은 볼 수 없다.
옥개석은 8각형으로 두껍고 투박하지만 각 모서리의 끝부분을 약간 반전(反轉)시켜 경쾌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 하단의 서까래장식이나 지붕 위의 기왓골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옥개석의 단순한 표현기법은 상륜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앙화(仰花)와 보륜(寶輪) 대신 보주형(寶珠形)의 석재만을 올려 상륜부를 마감하였다.
이 부도의 주인공은 알 수 없으나, 기단부의 상대와 하대에 형식적으로 표현된 연꽃무늬 외에는 장식적인 면이 생략된 채 간단하게 처리되었고, 탑의 전체적인 형식이 고준(高峻)한 것으로 보아 고려 후기의 부도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