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대웅전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동화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순천 동화사 대웅전과 삼층석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 다포양식의 사찰건물. 불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동화사대웅전(桐華寺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6년 09월 30일 지정)
소재지
전남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길 208 (대룡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 다포양식의 사찰건물. 불전.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1976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사찰사료≫에 의하면, 동화사는 고려 초 대각국사(大覺國師)가 창건하였으며 조선조로 내려와서는 법홍(法弘)이 향로전(香爐殿) 등을 중창하고, 그 후 1696년(숙종 22)에 법당 · 선승당(禪僧堂) · 요사 · 문루 등을 계환(戒環)이 중건하였다 한다.

대웅전의 건물구조는 막돌로 다듬은 낮은 기단 위에 원형 주초석을 놓고, 그 위에 배흘림 원형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로는 일반적인 모습대로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돌리고 그 상층에 공포(栱包)를 결구하였다.

첨차살미의 쇠서[牛舌]는 수직으로 내리뻗지 않고 호형(弧形)을 이루면서 위로 구부러져 올라갔다. 출목수는 외3출목, 내4출목으로 매우 화려한 편이며, 각 주간(柱間)에는 공간포(空間包) 1구씩을 배치하여 장엄함을 더했다.

내부는 우물천장이고 첨차살미는 완전히 운공(雲工)으로 변하지 않고 2단까지는 일반적인 형식을 하고 있다. 문은 3간으로 모두 4분합인데 빗살문이다. 창방 밑으로는 교창을 두지 않고 그 공간을 토벽으로 처리하였다.

네 귀퉁이 처마 밑에 활주(活柱)를 세웠으며 처마의 처짐은 완만하다가 추녀에 이르러서 약간 들어올린 반전을 하여 경쾌함을 나타냈다.

이 건물은 조선 중기 이후의 다포양식을 잘 보여주는 예로서 공포의 화려함과 건물 전체에서 풍겨주는 아담한 조형미는 이 건물을 한층 돋보이게 하고 있다. 이 건물은 1984년 옥개부 이상을 해체 복원한 바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