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지장사 석조 지장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북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
대구 북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북지장사의 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북지장사석조지장보살좌상(北地藏寺石造地藏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88년 05월 30일 지정)
소재지
대구 동구 도장길 243 (도학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북지장사의 대웅전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상.
내용

높이 110cm. 1988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대웅전 안에 아미타삼존불과 함께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지금의 대웅전 뒤쪽 땅속에 묻혀 있던 것이며, 약 50년 전에 폭우로 인하여 지표에 노출되어 발견되었다 한다. 그리고 옮겨 놓을 때부터 대좌(對坐) 및 광배석(光背石)은 없었다고 한다. 오랜 세월 동안 땅속에 매몰되어 있었기 때문인지 파손된 부분이 거의 없이 잘 보존되어 있다.

머리는 삭발하였고 얼굴은 갸름하다. 눈썹에서 입까지 이어지는 선의 표현이 너무 강하고 분명해서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경직되었다. 이마 한가운데에는 큼직한 백호공(白毫孔)이 새겨져 있다. 귀는 크고 길며 목에는 삼도(三道)의 표시가 뚜렷하다.

다소 각이 진 어깨는 넓고 반듯해서 당당하다. 하지만 가슴은 편평하고 결가부좌한 하체에도 양감의 표현이 부족해서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느낌을 준다. 오른손은 조각이 부자연스러운 채 무릎 위에 올려놓았다. 왼손은 가슴 앞에서 보주(寶珠)를 받쳐 들고 있다.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한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V자형으로 가슴을 열었고, 옷깃을 오른쪽으로 여미었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남원 선원사(禪院寺) 철조여래좌상(보물, 1965년 지정)의 법의 표현과 유사하다. 아래로 흘러내린 옷자락은 결가부좌한 발 사이에서 부채꼴 형태를 이루었다.

그리고 왼쪽 팔 위로 넘겨진 옷자락은 무릎 위로 동심원을 이루며 흘러내렸다. 왼쪽 어깨 뒤로 넘어가는 옷깃은 반전되었으며, 가슴에는 내의를 표현하였다. 이 불상은 앉은 자세나 수인(手印), 옷주름의 표현 등이 통일신라시대 작품인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 유사하다.

그러나 옷주름 선이 보다 더 간략한 음각선으로 조각되어 섬약하고 형식적이다. 손이나 어깨 등에서는 부자연스러운 표현이 보인다. 그리고 신체도 괴체화(塊體化 : 덩어리 모양이 됨.)되었기 때문에 조성 시기는 고려시대라 생각된다. 현재 이 불상의 얼굴과 가슴, 양손과 발에는 도금 및 채색이 되어 있고, 그 이외의 전신은 호분(湖粉 : 흰 가루)으로 덧칠해져 있다.

참고문헌

『팔공산』(대구직할시·경북대학교, 1987)
『북지장사』(대구직할시·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