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팔각원당형을 기본으로 삼았는데, 옥개석에 약간의 파손이 있을 뿐,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지대석의 상면에 8각형의 하대석을 2단으로 놓았다. 하대석의 하단에는 각면 1구씩의 안상을 음각하였고, 상단석에는 판단(瓣端)에 귀꽃이 있는 8엽의 복련(伏蓮)을 조각하였다.
중대석은 1석으로 조성되었는데, 각 모서리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 기둥]가 모각(模刻)되었다. 상대석에는 단엽 16판의 앙련(仰蓮)이 2중으로 조각되어 화사한 연화문대를 구성하고 있다. 탑신석은 8각의 고복형(鼓腹形)으로 전 · 후면에는 문비(門扉)가 음각되어 있다.
이 문비는 전면의 것이 후면에 비해 약간 크게 조각되었는데, 내면에 문고리와 자물통이 양각되었고, 이를 1조의 음각선으로 양분(兩分)하고 있다. 8각형의 옥개석 역시 1석으로 조성되었는데, 전각(轉角)에는 귀꽃이 1구씩 조각되어 있다.
정상에는 복엽 8판의 복련대가 조각되었는데, 보개(寶蓋)와 보주(寶株)를 차례로 놓아 상륜부를 구성하였다. 이 부도는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10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고려 광종연간에 조성된 징효대사보인탑비(澄曉大師寶印塔碑)와 같은 시기의 작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탑비(塔碑)와 조각적으로 공통적인 요소가 검출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부도의 명칭은 징효대사보인탑(澄曉大師寶印塔)이라 해야 옳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