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팔정 ()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에 있는 조선전기 에 건립된 전라도관찰사 유관 관련 누정. 정자.
이칭
이칭
모정(茅亭)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영팔정(詠八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기념물(1987년 01월 15일 지정)
소재지
전남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 40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에 있는 조선전기 에 건립된 전라도관찰사 유관 관련 누정. 정자.
개설

고려 말∼조선 초 문신인 하정유관(柳寬; 1346∼1433)이 주위 경치에 감탄하여 아들 맹문에게 짓도록 한 정자이다. 1987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전라도 관찰사 유관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그의 아들 맹문(孟聞)에게 명하여 1406년(태종 6)에 건립하였는데, 그후 여러 차례 중·개수가 이루어지다가 현재 규모로 중창된 것은 1689년(숙종 15) 영의정을 지냈던 유상운(柳尙運)에 의해서였다.

처음에는 모산리의 ‘모’자와 호인 하정의 ‘정’자를 따서 ‘모정(茅亭)’이라고 불렀으나, 훗날 율곡이이·고경명·남이공·유상운 등이 주변경관을 팔영시(八詠詩)로 읊어서 ‘영팔정’으로 바뀌었다. 숙종 15년(1689)에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이 건물을 고친 것 외에는 수리한 내력이 알려져 있지 않다.

내용

이 정자는 앞면 3칸·옆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건물로 내부는 방이나 벽체없이 사방이 개방된 정사각형 평면이며, 마루는 우물마루이다. 동측에만 간단한 평난간(平欄干)을 두었고, 전면 기둥에는 주련(柱聯)을 걸었다. 구조형식은 목조가구로서 평탄한 대지위에 약 3척 높이의 막돌허튼층쌓기 기단을 쌓고, 그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머리에는 주두(柱頭 : 대접받침) 없이 보머리를 상투걸이 기법으로 결구하였다. 보 밑에는, 기둥 외부를 곧게 절단하고 내부에는 비스듬히 절단한 간결한 보아지를 두었다.

천장은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장이다. 가구형식은 5량가(樑架)로서 전후 평주(平柱) 위에 대들보를 걸고 짧은 동자주(童子柱)를 세워 종보[宗樑]를 걸었으며, 그 위에는 초각(草刻)된 판대공(板臺工)과 소로[小累]를 댄 행공첨차(行工檐遮)를 직교하여 짜서 종도리를 안정되게 받치게 하였다. 충량(衝樑) 위에는 외기(外機)가 직접 끼워지며, 외기중도리 모서리기둥 밖의 왕지 부분에는 짧게 내린 달동자[懸童子]를 두고 있다.

후대에 많은 변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징

영팔정의 현판 글씨는 남구만이 썼다. 정자 안에는 제영문(題詠文)·기문(記文) 현판과 동계책(洞契冊)이 보관되어 있다. 제영문으로는 이이·고경명·유상운 등의 『저산팔경』·『저산정기』·『상계문』등과 주련 4개가 있다. 현존하는『저산동약』은 지방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여서 주목된다.

관련 유적으로는 분비재(憤悱齋, 1643년)·죽봉사(竹峯祠, 1796년)가 있고, 마을 어귀에는 유관의 신도비가 있다.

의의와 평가

양팔정은 본래 사정(私亭)으로서 지어졌으나 강학 장소 또는 향약의 집합소로도 이용되어 오랜 세월동안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을 사람들이 모임을 갖던 건물로서도 그 역사적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문화재도록』(전라남도, 1998)
『전국문화유적총람(全國文化遺蹟總覽)』(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호남문화연구(湖南文化硏究)』18(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88)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전라남도, 1986)
『도지정문화재조사보고서(道指定文化財調査報告書)』(전라남도, 1986)
『영암군(靈巖郡)의 문화유적(文化遺蹟)』(전라남도, 1986)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