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익창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때 의병으로 활동한 문신.
이칭
유원(裕遠)
사호(沙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7년(명종 12)
사망 연도
1635년(인조 13)
본관
함양(咸陽)
출생지
전라남도 영광
주요 저서
사호집(沙湖集)
주요 관직
공조정랑(工曹正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익창은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때 의병으로 활동한 문신이다. 임진왜란 때는 명량해전 당시 이순신의 수군을 도와 군량과 의복을 공급하였고, 피란선을 동원하여 후방을 지원하였다. 정묘호란 때는 왕이 파천한 강화도로 군량을 보냈다.

정의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때 의병으로 활동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오익창(吳益昌)은 1557년(명종 12) 전라남도 영광군 효곡(孝谷)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유원(裕遠), 호는 사호(沙湖)이다. 참판 오치선(吳致善)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진사 오인(吳寅)이다. 1579년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다.

주요 활동

1589년 기축옥사(己丑獄事)의 억울한 죽음에 대하여 상소를 올려 신원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다. 1597년 명량해전 당시 통제사 이순신이 전선 12척만 거느린 것을 본 전라도 연해민들이 피란길에 올랐으나, 이들을 설득하여 피란선을 동원하여 수군의 후방을 지원하였다. 또한, 의복과 군량을 공급하는 한편, 솜이불을 모아 물에 적셔 배에 펼쳐 철환을 막게 하였다.

광해군 대 1613년 임해군 역모 사건을 평정한 공로로 익사(翼社)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참록되었다. 이이첨의 실정에 회의를 품었고, 공조정랑에 있던 오익창은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심원동(深源洞)에 기거하며 시를 짓고 교육에 힘썼다. 1627년 정묘호란 때 왕이 강화도로 피란하자, 도내에 격문을 보내 식량을 모아 강화도로 운반하였다.

학문과 저술

오익창의 문예와 학식은 당대에 널리 알려졌으며, 보성의 정개청(鄭介淸), 고창의 변성온(卞成溫), 나주의 임제(林悌) 등과 교유하였다.

상훈과 추모

1613년 익사원종공신(翼社原從功臣) 1등에 녹훈되었으며, 1713년 무장 탁곡면(托谷面)에 죽산사(竹山祠,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산리)를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문월당선생문집(問月堂先生文集)』
『번암집(樊巖集)』
『사호집(沙湖集)』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논문

노승석, 「명량해전 중 오익창의 의병활동에 대한 고찰」(『호남문화연구』 52, 2012)
조원래, 「임란해전의 승인과 전라연해민의 항전」(『명량대첩의 의병항쟁』,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