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필 ()

악원고사
악원고사
유교
인물
조선후기 김제군수, 사복시정, 장악원정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군보(君輔)
구천(龜川)
시호
문경(文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2년(인조 20)
사망 연도
1718년(숙종 44)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형조좌랑|삭녕군수|김제군수|사복시정
정의
조선후기 김제군수, 사복시정, 장악원정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군보(君輔), 호는 구천(龜川). 이항복(李恒福)의 증손이며, 이조참판 이시술(李時術)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재질이 뛰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4년(현종 15) 제2차 복상 문제송시열(宋時烈)이 삭직당하자, 송시열을 적극 옹호하였다. 평소에 송시열을 모르는 사이였지만, 분개하면서 선비들을 설득해 상소하여 송시열의 원통함을 호소하다가 영광에 유배되었다. 적소에 5년 동안이나 있으면서도 문밖을 나가지 않았으며 『퇴계집』을 읽고 느끼는 바가 있었다고 한다.

1678년(숙종 4) 귀양에서 풀려나오자 학행으로 천거되어 1680년 창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이듬해 동몽교관이 되었고, 1684년 형조좌랑을 거쳐 용안현감이 되었다가 진위령을 지내고 삭녕군수로 부임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이이(李珥) · 성혼(成渾)문묘로부터 출향(黜享)하려 하자 관직을 버리고 진위(振威)로 돌아왔다. 생활이 매우 곤궁했으나, 개의치 않고 날마다 『대학』 · 『중용』을 외우며 ‘격물궁리(格物窮理)’ 공부에 전심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가 일어나자 다시 김제군수가 되고, 이어 사복시정 · 장악원정을 지냈다. 그 뒤 한성부우윤 · 형조참판을 제수받았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1717년 상신 이이명(李頤命)이 독대(獨對)를 전횡하자 상소해 그 잘못을 극론하였다.

고향에 돌아온 뒤부터는 성리학에 전심했는데, 그 중에서도 『대학』을 가장 깊이 연구하였다. 만년에는 예학에 힘을 쏟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고금 예설을 두루 연구하였다. 저술로는 경설을 논한 것과 예에 관하여 논답한 것 등 20여 권이 있다. 또한 『악원고사(樂院故事)』 1책이 있는데, 이는 묘악(廟樂)의 전고(典故)를 설명하고, 악장(樂章)에 관한 여러 사람의 논의를 수집해 엮은 것이다.

상훈과 추모

1722년(경종 2) 아들인 호조판서 이태좌(李台佐)주1에 의하여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가 이듬해에 다시 의정부좌찬성이 내려졌다. 영광의 백산서원(柏山書院)과 김제의 용암서원(龍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겸재집(謙齋集)』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임금이 신하의 부모에게 관작을 내리던 일. 시종(侍從)ㆍ병사(兵使)ㆍ수사(水使) 등의 아버지로서 70세가 넘는 사람에게 품계를 주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