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

목차
관련 정보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중 시권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중 시권
조선시대사
문헌
문화재
재령 이씨 영해파 종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정의
재령 이씨 영해파 종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개설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는 모두 12종 394점으로, 1493년(성종 24) 영해파 시조 이애(李璦)의 형제 자매간에 분급(分給)된 분재기(分財記)를 비롯해 1900년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약 500년간에 걸쳐 전래된 고문서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이용태(李龍兌)의 소유이나,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다.

내용

고문서 종류별로 그 지정된 내용 개요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명문(明文): 173점이며, 1532년(중종 27)에서 1919년까지의 문서이다. 종래 발표된 명문은 조선 후기에 국한된 문서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씨 가문의 명문은 임진왜란 이전의 문서가 20여 건이나 되고, 만력(萬曆, 1573∼1615) 이전의 것도 무려 50여건에 이른다. 대체로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고루 갖추어져 있으며, 조선시대 토지 제도의 제반 양상을 규명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이다.

② 분재기: 1493년(성종 24)에 발급된 영해파 시조 이애의 9남매 간 화회성문(和會成文)을 비롯해 1827년(순조 27)까지의 54점의 문서이다.이들 문서는 분금기(分衿記)·별급기(別給記)·허여문기(許與文記)·금득문기(衿得文記)·유언·명문·유서 등의 분재기로, 가문의 경제 사정은 물론, 당시의 경제·사회, 기타 풍습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③ 호적단자(戶籍單子): 1678년(숙종 4)에 발급된 이지욱(李之煜)의 준호구(准戶口)로부터 1894년(고종 31)까지 이씨 가문의 9대 200여 년간의 호적단자 84점이다. 이씨 가문의 가족구성·통혼관계(通婚關係)·노비분포 등의 실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임은 물론, 조선 후기 가족·사회 제도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④ 소지(所志): 49점이다. 1584년(선조 17) 이함(李涵)의 호노(戶奴)가 영해부사(寧海府使)에게 올린 진정소지를 비롯해 1900년대 초기까지 400여 년간 이씨 가문에 생긴 산송(山訟)·노비추심(奴婢推尋)·진전급탈(陳田給頉) 등에 관해 병조·감영·지방관에 올린 각종 소지류이다. 당시 민간의 각종 생활 양상이나 풍습·사회상을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⑤ 예장지(禮狀紙): 15점이며, 1596년(선조 29) 혼주 이함의 혼서(婚書)를 비롯해 1900년(광무 4)까지의 혼서이다. 조선시대 혼례의 의식 절차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⑥ 시권(試券): 1588년(선조 21) 이함의 생원시 대책문(對策文), 1609년(광해군 1) 문과 급제 대책문, 1610년(광해군 2) 이시청(李時淸)의 진사 입격시 부(賦), 1657년(효종 8) 이해(李楷)의 문과급제 대책문 등 모두 4점이다. 과거 제도 연구의 자료가 된다.

⑦ 통문(通文): 이씨 가문의 대동보(大同譜) 편찬과 이오(李午)의 제향 서원인 운구서원(雲衢書院)의 위답(位畓) 마련 등을 위해 함안·진주·안동·영해 등지에 보낸 통문 3점이다.

⑧ 완문(完文): 열녀인 이시청의 아내 박씨의 호역(戶役) 면제, 기타 이씨 가문의 모든 호역 면제, 그리고 남씨의 선산 벌채금지 등을 인정하는 완문 4점이다.

⑨ 완의(完議): 현종 연간 이지현(李之炫)·이시명(李時明) 등 문중 대표들이 선산 수호에 관해 합의하는 문서 3점이다. ⑩ 입안문(立案文): 영해에 거주하는 여종 추향(秋香)의 속량(贖良)에 관한 1688년(숙종 14)의 병조입안과, 1689년 장례원(掌隷院)의 입안 2점이다.

⑪ 입의문(立議文): 1665년(현종 6) 이씨 문중에서 제사·선산 수호를 위해 전답·노비의 수량을 합의한 입의문 1점이다. ⑫ 이문(移文): 1647년(인조 25) 여종 애춘(愛春)의 매매에 관한 분쟁으로, 영해부와 선산부 사이에 오고간 문서 2점이다.

의의와 평가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는 조선 성종 연간에서부터 조선 말기까지 16대 약 500년간 한 가문에 전래된 문서들로, 재령 이씨 영해파 종손가의 가계·족벌·경제·노비상황 등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전반에 걸친 정치·경제·사회·문화 발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재령이씨 영해파종가 소장고문서 조사보고서(載寧李氏寧海派宗家所藏古文書調査報告書)』(문화재관리국, 1984)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이정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