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채문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전기 우상시, 상장군, 우복야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026년(현종 17)
본관
봉주(鳳州 : 지금의 황해도 봉산)
주요 관직
중랑장|우상시|상장군|우복야
정의
고려전기 우상시, 상장군, 우복야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개설

봉주 지씨(鳳州智氏)의 시조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010년(현종 1) 중낭장(中郎將)이 되어 거란이 침입하자 화주(和州)를 중심으로 동북 방면을 방비하다가, 강조(康兆)가 패전하자 서경(西京)을 구원하기 위해 시어사(侍御史) 최창(崔昌)과 더불어 강덕진(剛德鎭: 지금의 평안남도 성천)에 진을 쳤다.

이 때 거란인 유경(劉經)이 강조의 패전 때 포로가 되었던 노의(盧敳)를 앞세우고 서경에 이르러 항복을 권하였다. 부유수(副留守) 원종석(元宗奭) 등이 이에 응하려 하자 원종석의 항서(降書)를 가지고 가는 노의를 죽이고 항서를 빼앗아 불태웠다.

그리고 동북면도순검사 탁사정(卓思政)과 합세해 서경에 들어가 거란군을 물리쳤다. 그러나 계속되는 거란군의 공격으로 서경이 포위되자 탁사정은 도망하고, 지채문도 개경으로 빠져 나와 서경의 전황을 알렸다. 이에 신하들이 항복하기를 논의했으나 강감찬(姜邯贊)은 홀로 왕의 남행(南行)을 주장해, 지채문이 이부시랑(吏部侍郎) 채충순(蔡忠順) 등과 금군(禁軍) 50여 명을 거느리고 왕을 호종하였다.

적성현(積城縣: 지금의 경기도 연천) 단조역(丹棗驛)에 이르렀을 때 무졸(武卒) 견영(堅英)이 역인(驛人)과 더불어 행궁(行宮: 임금이 거둥할 때 머무는 별궁)을 범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였다. 창화현(昌化縣: 지금의 경기도 양주)에서는 현리(縣吏)가 난을 일으키자 채충순·주저(周佇) 등과 함께 왕을 피신시켰다.

이듬 해 광주(廣州)에서는 길이 어긋난 왕후를 요탄역(饒呑驛)에서 찾았다. 이어 양성(陽城: 지금의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을 지나 여양현(礪陽縣: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에 이르렀을 때, 왕에게 현안지(玄安之) 등 16명에게 중윤(中尹)을 제수하도록 해 민심을 수습하도록 하였다.

삼례(參禮)에서는 전주절도사 조용겸(趙容謙)이 왕을 전주에 모셔 놓고 호령을 하자, 여러 무장들이 이를 죽이려 하는 것을 중지시키고 전주로 돌려보냈다. 이렇게 여러 차례 왕의 신변을 보호하면서 나주까지 무사히 호종하였다.

이듬 해 거란이 물러난 뒤 공주에서 호종의 공으로 전 30결을 받았다. 1016년 무직(武職)으로서 우상시(右常侍)가 된 뒤 1026년에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다. 1031년(덕종 즉위년) 현종 때 남행을 호종한 공으로 1등공신으로 추록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시대사』(김상기, 동국문화사, 1961)
집필자
나각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