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m.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수매의 장대석으로 지대석(地臺石)을 조립한 후 4매의 판석으로 주립한 하층기단을 놓았다.
기단의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1개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새겨져 있다. 기단 갑석(甲石)은 상면을 경사지게 처리하여 네 모퉁이의 합각선이 뚜렷한데, 각호각형(角弧角形) 3단의 상층기단 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상층기단 역시 4매의 판석으로 조립되었는데, 양 우주와 1개의 탱주가 새겨져 있다. 상층기단 갑석은 한쪽 면이 파손되었는데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副椽)이 있고, 상면에는 각호각형 3단의 탑신받침이 조출되어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1개로 조성되었다. 탑신석의 각 면에는 양 우주가 새겨졌는데, 초층탑신이 2층에 비해 3배 정도 높게 조성되어 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매층 각형 4단의 옥개받침이 조출되었고, 낙수홈이 개설되어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경쾌한 반전을 이루고 있다.
정상에는 팔각형의 보개(寶蓋)와 원형의 보주(寶珠)로 상륜부를 구성하였는데, 보개는 같은 경내에 있는 동부도의 부재로 생각된다. 전체적인 양식과 석재의 조립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에 건립된 석탑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