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교산리 석조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함양중학교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석조 불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咸陽 校山里 石造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남 함양군 함양읍 함양배움길 11 (교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함양중학교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석조 불상.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체 높이 2.45m, 대좌 높이 1.58m. 불상 전체의 마멸이 심하여 얼굴과 오른손, 무릎 및 대좌의 일부가 깨어졌고 광배(光背)도 없다. 대좌 높이까지 포함하여 4m가 넘는 거대한 조각으로서 파손이 심한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웅장한 느낌을 준다.

세부는 두부(頭部)가 마멸되어 육계(肉髻)도 분간할 수 없을 정도이지만 음각된 눈썹과 두툼한 입술 그리고 풍만한 턱은 불상의 원형을 짐작하게 한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새겨졌고 둥근 어깨에 편단우견(偏袒右肩)의 대의(大衣)를 입었다.

옷주름이 평행한 밀집선으로 음각된 것은 고려 초기 조각에 자주 보이는 기법이다. 조각 기술의 퇴보와 관련이 있는 듯하다. 굵고 우람한 오른팔의 손 부분은 깨져 있지만, 위치로 보아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형체를 알 수 없는 왼손도 무릎 위에 선정인을 취하였던 것 같다.

편단우견의 대의를 입고. 항마촉지인의 손 모양을 한 불상 형식은 하남 하상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이나 서산 보원사지(普願寺址) 철조여래좌상과 같이 고려 초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련의 철불 등과 동일하다.

대좌는 상·중·하대를 고루 갖춘 사각대좌로 상대의 앞뒷면이 깨졌고, 양 측면에 복판연화문(複瓣蓮花文: 겹잎의 연꽃잎무늬)이 3개씩 조각되어 있다. 중대에는 각 면마다 커다란 안상(眼象)이 2개씩 배치되었고, 하대의 복련좌는 비교적 선명히 남아 있는 편이다. 지대석(地臺石)에도 안상을 새겼고 안상 내에는 구름무늬가 표현되어 있다. 대좌의 형태는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보물, 1963년 지정)와 유사하며, 특히 연잎의 조각이 서로 닮아 주목된다.

제작 시기는 이러한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고려 초인 10세기 말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보물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