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 건칠 희랑대사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해인사 건칠 희랑대사 좌상
합천 해인사 건칠 희랑대사 좌상
조각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희랑대사 관련 불교조각상. 국보.
이칭
이칭
해인사 목조희랑대사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9년 04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희랑대사 관련 불교조각상. 국보.
내용

202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82㎝. 해인사의 조사(祖師)였던 희랑대사의 모습을 조각한 것이다. 나이 많은 대덕(大德: 덕 높은 승려)이 고요한 산사에서 선정삼매(禪定三昧)에 든 모습을 특징적으로 묘사하였다. 길고 큼직한 머리는 파격적인 모습이다. 머리카락이 없는 머리 부분에서 눈 있는 부위로 내려오면서 약간 좁아진다. 그러다가 그 아래로 점점 넓어져 뺨 부위가 가장 확장되었다. 여기에서 턱까지 급격히 좁아지면서 삼각형 턱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인상적인 광대뼈의 표현과 함께 비범하고 괴이한 노스님의 얼굴을 명쾌하게 나타냈다.

여기에 영롱하고 형형한 눈동자, 이마·눈초리에 나타나는 세 가닥의 굵은 주름과 입 주위로 보이는 깊은 주름 등은 연륜의 깊이와 함께 선정의 넓이를 잘 보여준다. 얼굴에서 내려온 목은 학같이 긴 편이다. 앙상하게 불거진 뼈대는 얼굴과 조화를 이룬다. 상체도 수척한 모습으로, 옷 속에 표현된 체구는 앙상한 노구임을 분명히 느끼게 한다. 앙상한 가슴뼈, 가냘픈 어깨와 팔의 선, 노쇠한 체구, 뼈마디가 여실하게 드러난 기다란 손등은 이를 잘 보여주는 특징이다.

옷은 장삼을 입고, 그 위에 가사를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걸쳤다. 가사를 맨 매듭 장식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장삼은 흰색 바탕에 붉은색 점과 녹색 점을 섞어 꽃무늬처럼 그려 넣었다. 가사는 붉은색 바탕에 녹색의 띠를 엇갈리게 묘사하였는데 많은 천을 기워 만든 분소의(糞掃衣)를 나타낸 것이다. 가사의 붉은색 밑에 금색이 간간이 보이는데, 원래는 도금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희랑대사좌상은 나무를 깎아 만들었기 때문에 목조에서 풍기는 인간적인 따뜻한 정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생략할 곳은 과감히 생략하고, 강조할 곳은 대담하게 강조하여 노스님의 범상하지 않은 위용을 사실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화엄종 북파(北派) 조사의 진면목을 적절하게 묘사한 희랑대사좌상은 10세기 중엽 조각 가운데 최고의 걸작품이자 진영(眞影) 조각의 진수를 보여준다. 무언의 형상을 통해 화엄종의 진리를 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초상 조각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보』1(박성래 외 편, 예경산업사, 1990)
「해인사목조희랑조사진영(초상조각)상의 고찰」(문명대,『고고미술』138·139, 한국미술사학회, 197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문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