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4m. 1976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의 전체 기본형식은 신라석탑에서 볼 수 있는 일반형의 방형석탑으로서, 2층기단 위에 3층탑신을 받치고 있다. 방형 지대석 위에 한 변 길이 0.7m의 방형 하층기단을 올렸는데, 이 기단의 중대석은 장대석을 2단으로 결합하였고 그 사이에 장대석을 면석으로 끼웠다.
하대갑석은 판석으로 좌우측면은 중석의 폭에 맞추었으며, 상층기단은 하대갑석 위에 방형돌을 세웠다. 상층기단부의 탑신이 초층탑신부의 탑신과 폭이 거의 비슷하여 불안정하게 보이며, 상층기단 갑석 역시 방형판석으로 윗면에는 중앙에 굵은 호형(弧形)과 각형(角形)의 괴임대가 높게 조각되어 있다.
초층탑신은 갑석괴임에 맞추어 세웠는데 희미하게 기둥 형태를 새겼으며, 탑신에는 3단의 옥개받침이 조각되어 중후한 맛을 느끼게 한다. 초층 탑신은 옥개석과 별도의 부재이지만 2층과 3층은 탑신과 옥개석이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다.
탑신부 2층부터는 탑신 높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나 옥개석의 추녀 너비는 완만한 체감률을 보이고 있다. 3층옥개석 정상부에 굵은 사각의 괴임과 그 위에 복발형(覆鉢形) 돌을 얹어놓았으나 후대에 보수한 것으로 보이며, 옥개석의 낙수면은 평평하다.
이 탑은 부분적으로 보수되어 세부기법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2중기단 양식이나 옥개석 지붕의 특징 등에서는 신라의 석탑을 반영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