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북대학교박물관 소장.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출토된 곳을 알 수 없으며, 대좌가 제 짝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전체적으로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불상의 얼굴 부분과 광배 윗부분 등이 약간 깨졌으나, 동그란 형태의 얼굴이 원만하고 인간적인 상호(相好)를 보이며 정수리에 솟아있는 육계는 낮아서 머리와 육계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어깨가 둥근 불신(佛身)은 아담하고 무릎의 높이가 낮으며 체구가 평면적이다. 대의(大衣)는 양 어깨를 가리는 통견식(通肩式)으로 입었으며, 대의에 새겨진 넓은 띠주름은 9세기 후반부터 나말여초(羅末麗初)에 걸쳐 크게 유행했던 표현이다. 두 손으로는 비로자나불상의 일반적인 수인(手印)으로서 왼손의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 쥐는 지권인(智拳印)을 맺고 있다.
배모양 광배[주형 거신광(舟形擧身光)] 내부에는 화려한 불꽃무늬와 보상화문(寶相花紋), 합장했거나 자연스러운 자세의 화불(化佛)·천인상(天人像) 다섯구가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대좌는 불상과 별개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중대석의 각 면에 합장한 천인입상이 새겨져 있고, 하대는 복판중엽(複瓣重葉)의 복련석(覆蓮石)에는 커다란 귀꽃이 조각되어 있으며, 복련석의 팔각 받침석의 각 면에는 안상(眼象) 속에 사자(獅子)가 부조되어 있어 원래 이 대좌 위에 봉안되었던 불상도 비로자나불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화려한 팔각연화대좌와 정교하게 조각된 광배는 신라 하대 9세기에 경북 지역 불상양식의 전형적인 일면을 보여준다. 다만, 대좌의 상대 앙련석 연잎의 생동감 없는 조각은 경북지역의 다른 9세기 불상 대좌와 다른데 이것은 조성 시기가 늦은 데서 오는 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불상으로는 영주 북지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1963년 지정)이나 홍천 물걸리 석불좌상(보물, 1971년 지정) 등 9세기 불상을 꼽을 수 있다.
이 불상은 불신·대좌·광배 등 각 부분에서 신라 하대 불상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즉, 단정한 얼굴이라든가 다소 위축된 듯한 왜소한 체구, 평행하고 규칙적인 옷주름 표현 등은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863년. 보물, 1963년 지정)을 비롯하여,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865년. 국보, 1962년 지정)등 9세기 후반 불상들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9세기 말기 불상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