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흥사 금동보살좌상은 제작연대를 알 수 없지만, 보살상의 양식적인 특징을 보면 고려후기의 보살상의 양식을 계승한 조선전기의 보살좌상이다. 따라서 국가유산의 가치가 높고, 한국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작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금동보살좌상은 오른쪽 무릎을 세우고 그 위에 오른팔을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왼손으로 바닥을 짚고 있는 윤왕좌(輪王座)를 취하고 있다. 보살상은 당초문이 빽빽이 투각된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귀 뒤로 화려한 관대가 휘날리고 있다. 보발은 길게 늘어진 귀의 중간 부분을 지나 귀볼을 따라 어깨 위로 늘어져 있고, 어깨에서 몇 가닥으로 둥글게 꼬인 후 허리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타원형의 얼굴에 아래로 살짝 내려 뜬 눈, 포물선을 그리는 눈썹에서 연결된 오똑한 코, 약간 미소를 머금은 입 등 온화한 느낌을 준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고, 목 바로 아래 세 줄로 이루어진 연주문 목걸이를 두르고, 그 밑으로 좌우대칭으로 양 가슴까지 길게 U자형의 영락장식이 늘어져 있다. 벗은 상반신에 양쪽 어깨에 늘어진 천의 안쪽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로 천의 가락이 늘어져 있고, 뒤에서 넘어온 한 자락이 복부에서 앞으로 넘어와 수직으로 늘어져 펼쳐져 있다. 하반신을 덮은 치맛자락은 자세에 따라 자연스럽게 늘어져 있다.
보살상의 보관과 장신구들의 표현은 전반적으로 고려시대 보살상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다. 타원형의 온화한 인상이나 신체에 간략한 영락 장식을 착용하였으며, 신체를 감고 있는 천의 등에서 고려후기의 보살상보다 도식화된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