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 ()

가야금
가야금
국악
물품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현악기.
이칭
이칭
가야고, 가얏고
내용 요약

가야금은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현악기이다. 가야시대에 탄생한 악기로 그 연원이 깊다. 좁고 긴 장방형 오동나무 공명판 위에 명주실로 꼰 12개의 줄을 걸고, 줄마다 작은 나무기둥을 세워 놓은 형태이다. 형태상 법금과 산조가야금 두 종류가 있다. 상단을 오른쪽 무릎에 얹어 비스듬히 바닥에 놓은 상태로 오른손은 현침 쪽에서 줄을 뜯고 왼손으로 줄을 눌러 농현하여 연주한다. 가야금으로 하는 여러 연주 중에서도 가야금산조 독주곡의 예술적 가치가 가장 높다.

정의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현악기.
개설

일반적으로 가야금이라 불리나, 이는 한자화된 명칭이고, 옛 문헌의 한글 표기는 언제나 ‘가얏고’로 되어 있다. 좁고 긴 장방형의 오동나무 공명판 위에 명주실로 꼰 12개의 줄을 걸고, 줄마다 그 줄을 받치면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작은 나무기둥[柱]을 세워 놓았다. 연주자는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공명판의 오른쪽 끝을 무릎 위에 놓고 왼쪽을 방바닥에 뻗쳐 놓고 타는데, 오른손으로 줄을 뜯고 퉁기면서 왼손으로는 줄을 떨거나 눌러서 그 소리를 꾸며 준다.

음색이 맑고 우아하며 연주기교가 다양하여 아악과 민속악에 두루 사용된다. 아악 또는 정악에서 사용되는 가야금을 법금(法琴) 또는 주4이라고 하며, 민속악 특히 산조에서 사용되는 것을 주5이라고 하는데, 법금이 원형이고 산조가야금은 19세기 말경 산조음악의 출현과 함께 일반화된 것으로 법금보다 훨씬 작다.

기원

가야금의 기원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가야국가실왕이 6세기에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만들었으며, 우륵(于勒)에게 명하여 12곡을 지었는데, 그 뒤 가야국이 어지러워지자 우륵은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 진흥왕에게로 투항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4세기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의 토우(土偶)에서 가야금이 발견되고, 중국의 『삼국지』 중 위지 동이전에 삼한시대에 이미 한국 고유의 현악기가 있었다는 기록이 나오는 것 등으로 미루어, 가야금은 삼한시대부터 사용된 민족 고유의 현악기가 가실왕 때 중국의 쟁(箏)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했다는 것이 오늘날 국악학계의 통설이다.

진흥왕 이후 가야금은 신라에 널리 퍼져 그 곡수가 185곡에 이르렀다고 하며,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궁정과 민간에서 크게 애호되었다. 19세기 말 김창조(金昌祖)에 의해 가야금산조가 창시되면서, 전통적인 가야금, 즉 법금보다 빠르고 다양한 산조 기교에 적합한 소형의 산조가야금이 만들어져 널리 보급되었다.

구조

가야금의 기본 구조는 ① 좁고 긴 오동나무 주6에 명주실로 꼰 12개의 줄을 매는데, 줄의 굵기가 순차적으로 가늘게 되어 있다.

② 공명판 위쪽에 줄을 거는 나지막한 받침목, 즉 주7 : 擔棵라고도 함)을 붙이고, 그 옆에 뚫린 12개의 작은 구멍에 줄의 한 끝을 꿰어 공명동 후면에서 주8(일명 軫棵라고도 함)라고 불리는 작은 나무실패에 매어 고정시킨다. 줄의 다른 끝을 현침에 걸어 공명판 아래쪽으로 보내서 줄마다 12개의 밧줄, 즉 주9(일명 染尾) 끝에 맨다.

③ 부들을 공명판 하단의 꼬리에 뚫려 있는 12개의 구멍에 꿰고 잡아당겨 줄을 팽팽하게 강도를 맞추어 고정시킨다. ④ 줄마다 그 중간을 나무기둥, 즉 안족(雁足 : 일명 柱 또는 歧棵라고도 함)으로 받쳐 놓고 좌우로 움직여 현침에서 안족까지의 줄의 길이로 조율하는데, 줄이 가늘어짐에 따라 받쳐 놓는 안족도 낮은 것이 사용된다.

법금과 산조가야금은 크기도 다르지만 공명동의 구조도 다르다. 법금은 이은 데가 없이 하나의 오동나무 판을 끌로 파서 만들고, 부들을 고정시키는 공명동 하단의 꼬리가 T자형의 주10로 되었지만 ([그림 1]) , 산조가야금은 거문고처럼 오동나무 앞판에 밤나무로 된 뒤판을 붙여서 만들고, 양이두 대신 주11라고 불리는 조그마한 꼬리를 붙인다.

법금은 공명동의 길이가 151㎝, 너비 28.5㎝이며, 후면에 패인 공명실(共鳴室) 입구의 길이가 122㎝, 너비가 17㎝이다. 산조가야금은 공명동의 길이가 136㎝이며, 너비가 상단은 18㎝이나 하단은 약간 넓어져서 21㎝이며, 후면에 세 개의 소리구멍을 두는데, 중간 것은 장방형으로 제일 크고 위의 것은 초승달, 아래의 것은 해 모양으로 되었다.

법금의 양이두는 목의 높이가 6.2㎝, 윗부분의 좌우 너비가 41.5㎝이며, 산조가야금의 봉미는 길이 22.8㎝, 너비 6.6㎝이다. 안족은 제일 높은 것이 7㎝, 제일 낮은 것이 6.5㎝이다. 안족은 단단하고 무늬가 없는 나무를 사용하는데, 현재는 배나무를 최상으로 친다 ([그림 2]) .

부들은 두께 0.6㎝, 길이 134㎝ 정도로 면사로 꼬아 만드는데, 짙은 청색이나 남색으로 물들인다. 가야금줄은 명주 생사로 꼬는데, 법금의 제일 굵은 줄은 생사 80종짜리 114올, 제일 가는 줄은 54올, 산조가야금의 제일 굵은 줄은 96올, 제일 가는 줄은 42올을 쓰며 세 가닥으로 나누어 꼰다.

조율법

정악은 법금으로 연주하며, 조율법은 [그림 3] 과 같다. 평조계면조의 조율법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 둘은 제6현과 제9현만 다르다. 우조의 조율법은 「영산회상」 가운데 「군악」에만 사용되는 예외적인 것으로 평조와 비교하여 제5현과 제7현이 다르다. 어느 조율법에서나 제4현[林鐘 : B♭에 흡사함.]이 기본이 된다.

[그림 4] 와 같이, 산조의 일반적인 조율법은 제2현을 기본음, 즉 주13으로 삼는다. 본청의 음고(音高)는 일정치 않고 대체로 B♭에서 C 사이인데, 그림에서는 편의상 C로 표기했다. 산조 주자들은 본청만 정확하게 맞추고 그 밖의 줄들은 개인에 따라 더 낮게 조율해 놓고 연주할 때 줄을 눌러서 제 음을 내는 주12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정악과 산조가 다르며 주자들의 개인차도 있지만, 보통 다음과 같다.

연주법

책상다리를 하고 앉되, 왼발을 안으로 하여 오른발을 허벅지 밑에 넣고 오른발 뒤꿈치를 왼발 무릎 밑에 둔다. 이렇게 앉으면 오른쪽 무릎이 왼쪽 무릎보다 약간 높게 된다. 가야금의 상단을 오른쪽 무릎에 얹고 하단은 비스듬히 밖으로 나가게 놓는다. 오른손은 현침 쪽에서 줄을 뜯고, 왼손은 안족 밖에서 줄을 눌러 주3을 하는데, 시선은 대체로 왼손 및 안족 부근으로 향한다([사진 1]) .

엄지 · 식지 · 장지 세 손가락으로 뜯는데, 식지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정악과 산조의 뜯는 수법이 다른데, 정악에서는 줄을 미는 듯이 하여 ([사진 2-1]) 뜯은 뒤 그 옆줄에 손가락 끝이 닿아서 정지되도록 하지만, 산조에서는 줄을 잡아당겨 뜯을 뿐 옆줄에 가서 닿지 않는다. 퉁기는 것은 원칙적으로 식지를 사용하는데, 대체로 한번 뜯은 줄을 반복해서 연주할 때 사용한다 ([사진 2-2]) .

정악에서는 소지 · 명지 · 장지 · 식지 네 손가락을 껴 쥐고 ([사진 2-3]) 순차적으로 연퉁기는 법이 있고, 산조에서는 장지와 식지를 급속히 연퉁기는 법 등이 있다. 산조에서는 빠른 가락을 연주하기 위하여 두 줄을 긁는 법, 세 줄 이상을 짚는 법을 많이 사용하고, 특수 주법으로는 끊어 타는 법(staccato), 막아 타는 법(con sordino), 배음(倍音) 내는 법(harmonix) 등이 있다. 정악에서 특이한 것으로는 엄지로 뜯은 뒤 같은 줄을 퉁기는 대신 손톱으로 뜯는 법이 있다. 현대 창작곡에서는 전통적인 수법 외에 여러 줄을 동시에 뜯거나 글리산도주법을 사용하고, 오른손 외에 왼손으로도 줄을 뜯는 등 여러 가지 새로운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좌수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식지와 장지를 모아서 그 끝으로 연주하는 농현(弄絃)이다 ([사진 2-4]). 엄지는 식지와 함께 모으듯이 하고 장지와 소지는 자연스럽게 벌려 둔다. 농현은 줄을 여러 종류로 떨거나 흔들어서 음을 장식해 줄 뿐만 아니라, 줄을 눌러서 다른 음을 내주기도 한다. 정악은 주14 위주로 연주하지만, 산조에서는 줄을 눌러서 음을 내는 주15을 빈번히 사용하기 때문에 그 기교가 훨씬 다양하며, 때로는 엄지 농현도 사용한다.

정악에서는 손끝으로 하는 농현 외에, 장지와 무명지로 줄을 껴 쥐고 소지와 엄지는 줄 위에 놓고 하는 농현 ([그림 2―5])도 사용되는데, 주로 음을 밀어 올리는 추성(推聲), 흘려 내리는 퇴성(退聲)과 구르는 전성(轉聲)을 내는 데 사용되고, 떨거나 눌러서 다른 음을 내려는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농현은 악곡의 정신, 가락의 흐름, 주자의 개성, 연주시의 느낌 등에 따라서 구체화되기 때문에, 악보로 정해지기보다도 주자의 재량에 속하는 비중이 크다.

연주곡목

정악곡들은 합주곡이지만, 법금으로 독주할 수도 있다. 조율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평조: 「우조다스름[羽調調音]」 · 「여민락(與民樂)」 · 「밑도드리(尾還入)」 · 「잔도드리(細還入)」 · 「양청도드리(兩淸還入)」 · 「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還入)」 · 「평조회상(平調會相)」 · 「취타(吹打)」 · 「보허사(步虛詞)」 · 「가곡(歌曲)」 중 평조에 속하는 곡.

② 계면조:「계면조다스름[界面調調音]」 · 「영산회상(靈山會相)」 중 「군악」을 제외한 8곡, 「계면가락도드리(界面加樂還入)」 · 「가곡」 중에서 계면조에 속하는 곡.

③ 우조:「영산회상」 중 「군악」.

산조가야금으로 연주하는 민속악곡은 민속 풍류 · 가야금병창 · 민요 · 창극 · 무용곡 등의 반주곡이 있지만, 가야금산조야말로 예술적 가치가 높은 순수한 독주곡이다. 현재 연주되고 있는 유명한 산조에는 강태홍(姜太弘) · 김병호(金炳昊) · 김윤덕(金允德) · 김죽파(金竹坡) · 성금연(成錦鳶) · 심상건(沈相健) · 함동정월(咸洞庭月) 등의 가락이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악학궤범(樂學軌範)』
『가야금정악(伽倻琴正樂)』(김기수·최충웅, 국립국악고등학교, 1979)
『남창가야금보(男唱伽倻琴譜)』(김인제, 한국국악학회, 1977)
『정악가야금보(正樂伽倻琴譜)』(김정자, 한국국악학회, 1976)
『가야금산조(伽倻琴散調)』(이재숙, 한국국악학회, 1971)
『한국악기대관(韓國樂器大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한국악기유래소고(韓國樂器由來小考)」(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주석
주1

거문고나 가야금 따위의 현악기에서, 뒤판으로 넘어온 줄을 고정하고 좌우로 돌려 가며 소리를 고르는 데 쓰는 나무토막.    우리말샘

주2

필법(筆法)의 하나. 내리긋는 획의 끝을 바늘 끝처럼 뾰족하게 하는 방법이다.    우리말샘

주3

국악에서 현악기를 연주할 때에, 왼손으로 줄을 짚고 흔들어서 여러 가지 꾸밈음을 냄. 또는 그런 기법.    우리말샘

주4

통나무의 뒷면을 판 몸체에 양이두가 있는, 원형의 가야금. 후대에 산조를 타는 데 쓰는 산조 가야금을 만들어 쓰게 되면서부터 구분하게 되었다.    우리말샘

주5

산조나 병창과 같은 민속악을 연주하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폭이 좁은 가야금.    우리말샘

주6

현악기에서, 현(絃)의 진동에 울리는 동체. 음의 손실을 줄이고 많은 진동음에 울려 음량을 풍부하게 하고 음색을 아름답게 한다.    우리말샘

주7

현악기에서, 줄의 머리를 걸치는 침목(枕木)이라는 뜻으로, ‘담괘’를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거문고나 가야금 따위의 현악기에서, 뒤판으로 넘어온 줄을 고정하고 좌우로 돌려 가며 소리를 고르는 데 쓰는 나무토막.    우리말샘

주9

명주실이나 무명실을 꼬아 현악기의 현을 잇는 데 쓰는 줄.    우리말샘

주10

가야금 아래 끝에 열두 개의 구멍을 뚫고 부들을 잡아매는 곳. 양의 귀처럼 양쪽으로 비쭉 나와 있다.    우리말샘

주11

봉황의 꼬리.    우리말샘

주12

거문고에서는 줄을 밀어 짚고, 해금에서는 줄을 당기어 짚는 연주법.    우리말샘

주13

시나위 대금이나 민요에서, 중심이 되는 음. 또는 그런 목청.    우리말샘

주14

기타ㆍ바이올린 따위의 현악기에서, 손가락으로 누르지 아니하고 소리를 낼 때의 현. 큰 소리는 낼 수 있지만 손가락으로 조절할 수 없으므로 자유로운 표현은 할 수 없다.    우리말샘

주15

거문고에서는 줄을 밀어 짚고, 해금에서는 줄을 당기어 짚는 연주법.    우리말샘

집필자
황병기(이화여자대학교, 음악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