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 ()

고전산문
작품
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고전 소설.
작품/문학
창작 연도
1687
작가
김만중(金萬重)
내용 요약

「구운몽」은 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고전 소설이다. 불도를 수행하는 성진이 우연히 팔선녀를 만나 속세에 대한 욕망을 품게 된 뒤, 양소유라는 남자로 태어나 8명의 여자와 혼인하고 높은 관직에 올라 부귀공명을 이루는 꿈을 꾼다는 내용이다. 현실과 꿈을 넘나드는 환몽 구조로 이루어진 한국 고전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정의
조선 숙종 때, 김만중(金萬重)이 지은 고전 소설.
저자

이 작품의 저자는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 1637-1692)이다. 유복자로 태어나 어머니 윤씨 부인에게 엄격한 가정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1665년(현종 6)에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가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여러 번의 정치적 부침(浮沈)을 겪고 1692년(숙종 8)에 남해 유배지에서 56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김만중은 서인 노론 벌열층의 일원이라는 처지에 어울리지 않게 당시로서는 이단시되던 불교나 주5 등에 큰 관심을 보였는데, 이러한 점이 소설을 지을 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다. 종손인 김춘택(金春澤)은 김만중이 속언(俗言)으로 많은 소설을 지었다고 하였으나, 지금은 「구운몽」「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이규경(李圭景)『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의 「소설변증설(小說辨證說)」에 의하면, 김만중이 귀양지에서 어머니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 주기 위하여 하룻밤 사이에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혹은 중국에 사신으로 가게 된 김만중이 중국 소설을 사오라고 한 어머니의 부탁을 잊어버려 돌아오는 길에 부랴부랴 이 작품을 지어 드렸다는 이야기가 그의 집안에서 전해지고 있다. 이 경우에도 어머니를 위하여 속성으로 지었다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이규경은 김만중이 귀양갔을 때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하였는데, 그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즉 그가 장희빈(張嬉嬪)의 아들 이윤(李昀)을 세자로 책봉하는 것에 반대하다 선천에 귀양 간 1687년(숙종 13)인지, 아니면 장희빈이 인현왕후(仁顯王后) 대신 왕후로 책봉된 기사환국 때문에 남해로 귀양 간 1689년(숙종 15)인지가 확실하지 않다. 일본 천리대학교 소장본 『서포연보(西浦年譜)』가 출현함으로써 일단 선천 유배 시기로 확실해졌으며, 그 완성은 남해 유배 시기로 추정된다.

이본사항

이본에 따라 1책부터 4책까지 분량이 다양하다.

1725년(영조 1)에 간행된 금성판(錦城板) 한문 목판본을 비롯하여 국문 방각본, 국문 필사본, 국문 활자본, 한문 필사본, 한문 현토본 등 50여 종이 넘는 많은 이본이 전한다.

「구운몽」에 관한 연구는 여러 방향에서 이루어졌는데, 먼저 원본을 확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었다. 김태준(金台俊)은 「구운몽」도 「사씨남정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김만중이 국문으로 창작한 것을 김춘택이 한문으로 번역하였을 것이라고 단정하였다. 그러나 정규복(丁奎福)은 국문 원작설에 의문을 제기하여, 한문 ‘을사본’의 모본이자 최고본(最古本)인 한문 ‘노존본(老尊本)’을 발견하였다. 이에 의해 이전까지 원본에 가깝다고 추정해 온 국문 ‘서울대학교본’ 및 국문 ‘노존본’이 한문 ‘노존본’과 같은 계통이며, 이의 번역본임을 증명하고 한문 원작설을 주장하였다.

더불어 「구운몽」은 텍스트의 연구를 통하여, 한문본이 노존본(1725년 이전)에서 을사본(1725년)으로, 을사본은 다시 계해본(1803년)으로 형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국문본도 노존본 계통의 국역본(國譯本), 을사본 계통의 국역본, 계해본 계통의 국역본 등으로 분류되었다. 아울러 '서포문중설화(西浦門中說話)'가 밑받침되어 「구운몽」의 한문 원작설이 더욱 뒷받침되었다.

그런데 「구운몽」의 한문본과 국문본의 비중이 거의 같다는 점은 계층과 성별의 구분을 넘어서 「구운몽」이 수용될 수 있었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운몽」은 어느 부류의 독자층이라도 인정할 수 있는 공동의 소설적 규범을 개발하는 데 선구적인 구실을 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내용

중국 당나라 때 남악 형산 연화봉에 서역으로부터 불교를 전하러 온 육관대사가 법당을 짓고 불법을 베풀었는데, 동정호의 용왕도 이에 참석한다. 육관대사는 제자인 성진을 용왕에게 사례하러 보낸다. 이때 형산의 선녀인 위 부인도 팔선녀를 육관대사에게 보내 인사를 전한다. 용왕의 후대로 술이 취하여 돌아오던 성진은 연화봉을 구경하던 팔선녀와 석교에서 만나 서로 말을 주고 받으며 희롱한다. 선방에 돌아온 성진은 팔선녀의 미모에 도취되어 불문의 적막함에 회의를 느끼고 속세의 부귀와 공명을 원하다가 육관대사에 의하여 팔선녀와 함께 지옥으로 추방된다.

성진은 회남 수주현에 사는 양 처사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양 처사는 신선이 되기 위해 집을 떠났다. 아버지 없이 자란 양소유는 15세에 과거를 보러 경사로 가던 중 화음현에 이르러 진 어사의 딸 채봉을 만나 서로 마음이 맞아 혼약한다. 그때 구사량(九士良)이 난을 일으켜 양소유는 남전산으로 피신하였는데, 그곳에서 도사를 만나 음률을 배운다. 한편, 진채봉은 아버지가 죽은 뒤 관원에게 잡혀 경사로 끌려간다.

이듬해 다시 과거를 보러 서울로 올라가던 양소유는 낙양 천진교의 시회(詩會)에 참석하였다가 기생 계섬월과 인연을 맺는다. 경사에 당도한 양소유는 어머니의 친척인 두련사의 주선으로 거문고를 탄다는 구실로 여관(女冠)으로 가장하여 정 사도의 딸 경패를 만나는 데 성공한다. 과거에 급제한 양소유는 정 사도의 사위로 정해졌는데, 정경패는 양소유가 자신에게 준 모욕을 갚는다는 명목으로 시비 가춘운으로 하여금 선녀처럼 꾸며 양소유를 유혹하여 두 사람이 인연을 맺도록 한다. 이때 하북의 세 왕이 역모하려 하니 양소유가 절도사로 나가 이들을 다스린다. 돌아오는 길에 계섬월을 만나 운우(雲雨)의 정을 나누었는데, 이튿날 보니 하북의 명기 적경홍이었다. 양소유는 두 여자와 후일을 기약하고 상경하여 예부 상서가 된다.

한편 진채봉은 서울로 잡혀온 뒤 궁녀가 되었는데, 어느 날 황제가 베푼 자리에서 양소유를 보고 그의 주1주6여 애타게 된다. 까닭을 물어 진채봉과 양소유의 관계를 알게 된 황제는 이를 용서한다. 양소유는 어느 날 밤에 황제의 누이인 난양 공주의 퉁소 소리에 화답한 것이 인연이 되어 황태후의 사위로 간택되지만, 정경패와의 혼약을 이유로 이를 물리치다가 옥에 갇힌다. 그때 토번왕이 쳐들어와서 양소유가 대원수가 되어 출전한다. 진중에서 토번왕이 보낸 여자 자객 심요연과 인연을 맺게 되고, 심요연은 자신의 사부에게 돌아가면서 후일을 기약한다.

양소유는 백룡담에서 용왕의 딸인 백릉파를 도와주고 그녀와 또 인연을 맺는다. 그 사이 난양 공주는 양소유와의 혼약이 어그러져 실심한 정경패를 만나 보고, 그 인물에 감탄하여 형제의 의를 맺어 정경패를 제1공주인 영양 공주가 되게 한다. 토번왕을 물리치고 돌아온 양소유는 위국공에 봉해진다. 그리고 영양 공주 및 난양 공주와 혼인한 후, 궁녀 진씨와 만나 동침하는 가운데 그녀가 진채봉임을 확인하게 된다.

양소유는 고향으로 가서 늙은 어머니를 경사로 모시고 오다가 낙양에 들러 계섬월과 적경홍을 데리고 오니, 심요연과 백릉파도 찾아와 기다리고 있었다. 이후 양소유는 2처 6첩을 거느리고 일가가 화평하고 즐거운 가운데 부귀공명을 누리며 살아간다. 생일을 맞아 종남산에 올라가 가무를 즐기던 양소유는 역대 영웅들의 황폐한 무덤을 보고 문득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비회에 잠긴다. 이에 9인이 인간 세계의 무상과 허무를 논하며 장차 불도를 닦아 영생을 구하자고 한다. 그때 한 호승이 찾아와 문답하는 가운데 꿈에서 깨어나니, 육관대사의 앞에 있었다. 본래의 성진으로 돌아와 죄를 뉘우치고 육관대사의 가르침을 받고 있는데, 팔선녀가 찾아와 대사의 가르침을 구한다. 이에 육관대사가 설법을 베푸니, 성진과 팔선녀는 본성을 깨우치고 주3의 큰 도를 얻어 극락세계에 돌아간다.

특징

주제 연구

삼교 화합설

「구운몽」의 주제 또는 사상에 관하여는 여러 연구에서 논란이 거듭되었다. 우선 주장된 바는 「구운몽」에는 삼교 화합 사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게일(Gale,J.)이 「구운몽」을 영역(英譯)할 때 서문을 쓴 스콧(Scott,R.)은 「구운몽」에는 '유교 · 불교 · 도교 사상이 섞여 있다'고 하였다.

김태준은 작품의 여러 장면에서 나타나는 민간 신앙에서 유 · 불 · 선 삼교의 화합 사상을 엿볼 수 있다고 하였다. 주왕산(周王山)은 유교의 현실주의, 불교의 은둔사상, 도교의 향략주의가 나타나 삼교가 '혼연히 일치된 소설'이라고 하였다. 또 이명구(李明九)에 따르면, 양소유는 유교를, 성진은 불교를, 팔선녀는 도교를 각기 표상하고 있어, 「구운몽」에는 '유 · 불 · 선 세 가지의 인생관이 나타나 있다'고 하였다.

사실 「구운몽」의 대표적 공간인 남악 형산은 불가적 · 도가적 · 유가적 색채가 경쟁하듯 조화를 이루며, 각자 생동하면서도 균형을 유지한다. 그리고 이것은 실제 남악에 새겨진 인문 지리, 즉 그것이 배경으로 삼는 인문학적 맥락과도 무관하지 않다. 남악은 도교와 불교가 자신들의 대표 성지로 삼고 있는 공간인데, 이는 남악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 기록인 『남악총승집(南嶽總勝集)』이 불교의 『대장경(大藏經)』, 도교의 『도장(道藏)』에 모두 수록되어 있으며, 여기에 남송대 주희(朱熹)와 장식(張栻)의 수창 일화가 더해지면서 유가적 성지의 성격이 첨가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주희가 찬시를 지은 연화봉이 부각되면서 연화봉이 유불도의 공간 경계역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그렇기에 「구운몽」 속 남악 형산의 이미지에는 유 · 불 · 도적 성격이 혼재하게 된 것이다.

한편 「구운몽」은 추상적 음양오행론을 서사적으로 구현한 커다란 상징이라 할 수 있다. 김만중은 작품 구상 단계에서 팔선녀들의 천간(天干)의 순서를 정하고 해당 천간이 지닌 음양오행적 속성을 고려함으로써, 이름과 개성을 구체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 작품 서두에 오악을 배치하거나 상극과 상생의 관계적 구도를 적용하는 등 서사 세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음양오행적 상상력을 발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작품은 『주역(周易)』 중에서도 절망적 상황에서 만사형통의 희망을 찾는 복괘(復卦)의 의미를 바탕으로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작품 속 9명의 인물을 복괘 각 효의 변화를 고려하면서 형상화하고, 이원적 구조와 주제를 괘사와 주7의 의미를 바탕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절망적 상황에 처한 이들에게 희망과 구원의 의미를 던져 준다.

공사상설

삼교 화합설에 반하여, 김만중의 불교에 대한 심취나 작품에 나타나는 불교적 성향을 들어 「구운몽」에 나타난 사상은 오로지 불교 사상뿐이라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박성의(朴成義)는 「구운몽」이 불교적인 제행무상관(諸行無常觀)을 사상적 배경으로 '인생무상을 주제로 한 작품'이라고 하였다.

이재(李縡)가 「구운몽」의 주8를 '인생의 부귀공명이 일장춘몽이다'라고 한 것과 같이, 「구운몽」의 주제는 대승불교의 중심인 『금강경(金剛經)』의 공사상(空思想)이라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정규복에 따르면, 성진은 팔선녀로 인하여 미(迷)하였다가 유교적인 부귀공명의 환(幻)을 통하여 육관대사 앞에서 각(覺)한 것으로 되돌아갔으니, 진공묘유(眞空妙有)의 경지에 도달하는 과정을 담고 있는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중심으로 한 공사상과 대응된다'는 것이다.

정주동(鄭柱東) 역시 '불교사상 중에서도 『금강경』의 공사상, 곧 공즉시색(空卽是色) 색즉시공(色卽是空)의 진공묘유 사상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또 성현경(成賢慶)은 '넓게는 불교사상, 좁게는 공사상이 김만중식으로 변용, 굴절되어 나타났다'고 하였다.

설성경은 '「구운몽」에서는 대승불법이 강조되고, 이는 『금강경』의 공사상을 통하여 구현된다'고 하여 정주동, 성현경과 마찬가지로 정규복의 『금강경』이 바탕이 된 공사상을 되풀이하고 있다.

공은 표면적으로는 인생만사를 부정하는 데 있는 것 같지만 이면적으로는 인생만사를 역설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운몽」은 『금강경』이 소설화된 작품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불교사상 일반설과 재반론

공사상설에 대하여 김일렬(金一烈)은 「구운몽」이 『금강경』의 중심 사상인 공사상을 투영하려 하였으나, 그 결과는 '공사상의 본격적인 차원'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지적하였다. 「구운몽」의 현실 부정은 각자의 관념적인 도피이며, 이는 공사상의 한 단계로서 공사상만의 것이 아니고 불교사상 일반의 것으로 그 초보 단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조동일(趙東一)도 '성진이 『금강경』 사상의 높은 차원의 것을 실행하지는 않았고, 다른 방법으로 그 사상이 작품에 나타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하면서 공사상설을 비판하였다. '상(相)이 있는 것은 허망하다라는 정도의 생각은 불교의 기본적인 전제이기에 불교사상설이 오히려 실상에 부합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규복은 「구운몽」의 종결 부분에 등장하는 육관대사와 성진의 문답에서 성진의 꿈(양소유)과 인간(성진)의 2분법을 깨뜨리고 성진과 양소유, 몸과 꿈, 장주와 호접의 1분법으로 되돌리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구운몽」의 주제와 사상은 다시 『금강경』이 바탕이 된 공관(空觀)의 미학임을 재확립하였다.

비교 연구

「구운몽」을 비교문학적 시각에서 다룬 연구로는 정규복의 업적이 대표적이다. 「구운몽」에 나타나는 환몽 주9의 가장 오래된 것은 인도에서 형성된 『잡보장경(雜寶藏經)』의 ‘사라나비구(娑羅那比丘)’이다. 이것이 육조시대에 중국에 들어와 당나라 때에 나온 「침중기(枕中記)」,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앵도청의(櫻桃靑衣)」 등과 같은 전기소설(傳奇小說)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 작품이 다시 우리나라에 수용되어 「구운몽」 창작의 배경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또 「구운몽」은 일본으로 건너가 메이지시대[明治時代]에 고미야마[小宮山天香]에 의하여 「무겐[夢幻]」으로 번안되기도 하였다. 즉 환몽 구조는 인도에서 중국-한국-일본으로 전파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도 불경의 ‘사라나비구’는 설화 형태에 지나지 않고 당대(唐代)의 전기소설은 소설의 초기 형태에 불과하지만, 「구운몽」은 완전한 소설이라는 점이 다르다. 일본으로 건너간 「구운몽」은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번안물에 머물렀을 뿐이다. 이러한 점에서 「구운몽」이 동양 문학권 내에서 차지하는 독특한 위치를 가늠할 수 있다. 또한 「구운몽」은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나 『태평광기(太平廣記)』 및 『서유기(西遊記)』의 영향도 받았다.

국내의 다른 작품과의 대비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상택은 「구운몽」이 초월주의적 세계관을 반영한다면, 「춘향전」은 현실주의적 세계관을 반영한다고 하였다. 성현경은 「구운몽」이 「옥루몽」을 낳게 한 모태가 된 작품이라고 하였다. 그 외에도 「구운몽」의 주4 이야기는 「임호은전」, 「장국진전」, 「김희경전」, 「옥선몽」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기타

이외에도 「구운몽」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김병국(金炳國)은 분석심리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작품의 내면에 감추어진 의미를 찾고자 하였고, 이능우(李能雨)는 작품 속의 성적(性的) 상징물들을 분석하기도 하였다. 김열규(金烈圭)는 기호론적 방법론으로 작품에 나타난 ‘이산(離散)’과 ‘회동(會同)’이라는 구조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이외에도 구조, 화소, 전고, 인물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근래에는 현대적 변용이나 교육적 측면에서 꾸준히 논의되고 있다.

주제 역시 사상적 면에서 벗어나 '당대 남성 사대부의 욕망, 숙종의 각성 염원, 해방과 희망의 서사, 위로와 치유의 서사'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되며, 계속해서 새롭게 읽으려는 노력들이 현재 진행 중이다.

의의 및 평가

이 작품의 기본 설정은 주인공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뜻을 꿈속에서 실현하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와 꿈속의 일이 허망한 한바탕의 일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이는 김시습(金時習)「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와 같은 몽유 주10에서도 나타났다. 그러나 꿈속에서 이룬 욕망이 오히려 허망하고, 꿈에서 깨어나서야 비로소 진정한 화합이 이루어진다고 한 점은 다른 몽유 소설에서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몽유 소설과는 달리 꿈속의 주인공인 양소유의 삶이 ‘영웅의 일생’에 따라 전개된다. 그러나 투쟁이 약화되는 대신 남녀의 만남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양상과는 거리가 있다. 이런 점에서 「구운몽」은 몽유 소설과 영웅소설을 변형시켜 결합한 작품이라 하겠다.

한편 「구운몽」은 현실-꿈-현실로 바뀌는 과정, 양소유가 8명의 여인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을 묘미있게 꾸며 독자를 사로잡는다. 또한 8명의 여인이 각기 개성을 갖추도록 배려를 하면서 작품에 등장하는 환경, 인물, 심리를 우아하고 품위있는 문체를 활용하여 세밀하게 묘사해 놓은 것에서 작자의 뛰어난 창작력을 엿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설적 흥미를 유지하고 품격을 높이며, 사상적 깊이를 가지도록 하여 유식한 계층까지도 독자로 끌어들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구운몽」은 이후의 소설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구운몽」 자체를 늘리거나 축소하여 개작한 작품이 계속 나왔을 뿐만 아니라, 「구운몽」과 같은 설정을 하면서 다른 사건을 결합시킨 작품들도 대거 등장했다. 그러므로 「구운몽」은 고전 소설 창작에 전형적인 모범을 제시하여 소설사의 획기적인 전환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으며, 「춘향전」과 더불어 대표적인 고전 소설 작품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원전

김병국 교주·역, 『구운몽』(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정규복 엮음, 『구운몽 자료 집성』 1~3(보고사, 2010)

단행본

김무조, 『서포소설연구』(형설출판사, 1974)
김열규·신동욱 편, 『김만중연구』(새문사, 1983)
정규복, 『한중문학비교의 연구』(고려대학교출판부, 1987)
정규복, 『한국고소설사의 연구』(한국연구원, 1992)
정규복, 『구운몽 연구』(보고사, 2010)
정규복, 『구운몽 원전의 연구』(보고사, 2010)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지식산업사, 1977)

논문

구본현, 「『구운몽』의 인물과 서사에 나타나는 用事와 漢詩의 활용 양상」(『국문학연구』 32, 국문학회, 2015)
김병국, 「九雲夢 硏究-그 幻想構造의 心理的 考察」(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8)
김수연, 「남악 형산, 유불도 인문지리의 공간경계역」(『고전문학연구』 45, 한국고전문학회, 2014)
김일렬, 「구운몽과 운영전의 비교연구」(『어문논총』 9, 경북어문학회, 1975)
성현경, 「이조몽자류소설 연구-특히 구운몽과 옥루몽을 중심으로」(『국어국문학』 54, 국어국문학회, 1971)
송성욱,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현대역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한국고전연구』 23,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신재홍, 「<구운몽>과 『주역』 복괘의 관련 양상」(『고전문학과 교육』 38,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정규복, 「구운몽의 비교문학적 고찰」(『고려대학교논문집』 16,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1970)
황혜진, 「음양오행적 상상력에 기반한 <구운몽>의 창작과 향유 방식 연구」(『고전문학과 교육』 35,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주석
주1

흰 깁 부채에 쓴 시

주2

남이 지은 시의 운자를 써서 시를 지음

주3

번거로움을 떠난 열반의 경지를 이르는 말

주4

양소유가 여장을 하고 거문고를 탄 일.

주5

사리나 도리에 어긋난 사실을 적어서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미혹하게 만드는 책. 유가에서 유학이 아닌 다른 책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6

남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따서 시를 짓다. 우리말샘

주7

주역에서, 괘(卦)를 구성하는 각 ‘효(爻)’를 풀이한 말. 64괘에 대한 386개의 효사가 있으며, 중국 주나라의 문왕 또는 그의 아들인 주공 단이 지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8

글이나 말의 대략적인 뜻. 우리말샘

주9

꿈과 현실을 오가는 이야기 전개 구조. 우리말샘

주10

고전 소설 가운데, 꿈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내용으로 하는 소설. 주로 주인공이 현실의 자아를 그대로 가진 채 꿈속의 세상에서 여러 가지 일들을 겪고 난 뒤에 꿈에서 깨어나 스스로 꿈속에서 겪은 일을 기록하는 내용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문학 작품의 한 유형으로 ‘현실-입몽-각몽’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원생몽유록>이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