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지리지 ()

목차
관련 정보
동국지리지
동국지리지
인문지리
문헌
1615년경 한백겸이 부족국가 · 삼국(三國) · 고려에 관하여 서술한 지리서. 역사지리지.
내용 요약

동국지리지는 1615년경 한백겸이 부족국가·삼국·고려에 관하여 서술한 역사 지리서이다. 1책 60장의 목판본이다. 내용은 부족국가·삼국·고려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주로 삼국과 고려의 수도·봉토·형세·국경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부족국가에서는 우리나라 자료 인용이 없으며 단군조선에 대한 서술도 없다. 삼국시대 부분에서는 『동사』·『고구려지』·『동국여지승람』 등의 사서가 인용되고 있다. 고려시대 부분에서는 한두 차례 외에 대부분 사서 인용 없이 서술되고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역사지리학의 창시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목차
정의
1615년경 한백겸이 부족국가 · 삼국(三國) · 고려에 관하여 서술한 지리서. 역사지리지.
내용

1책 60장. 목판본. 내용은 중국 사서(史書)의 주1에 기록된 부족국가에 대한 서술을 인용하여 쓴 부분, 삼국(三國)에 대한 서술 및 부록으로 붙인 서술 부분, 고려에 대한 서술 부분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부족국가에 대한 기록은 『전한서(前漢書)』의 조선전(朝鮮傳), 『후한서(後漢書)』의 고구려전(高句麗傳) · 동옥저전(東沃沮傳) · 예전(濊傳) · 부여전(扶餘傳) 등의 원전을 약간 생략하여 거의 그대로 인용하였으며, 자신의 사론적(史論的) 성격의 견해는 우안(愚按: 자신의 생각이나 안(案)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이라는 표현으로 덧붙이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부족국가의 위치 · 강역 · 종족 및 사실(史實)의 신빙성 문제가 언급되어 있다.

삼국에 관한 부분은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순서로 국도(國都) · 봉강(封疆) · 형세(形勢) · 관방(關防)에 중점을 두어 서술하고 있다. 국도는 각 나라의 옛 국도를 시대순으로 쓰고 그 국도를 잡게 된 연혁을 밝히고 있는데, 첫 국도에는 개국 전설을 싣고 마지막 국도에는 왕들이 몇 대에 걸쳐 몇 년만에 나라가 멸망하였다는 내용이 기재되었다. 봉강 부분에서는 그 나라의 영역 내에 흡수된 부족국가나 역사적 유래가 있는 지명에 대한 설명이 있다.

삼국의 형세 · 관방에 대한 부분에서는 당시의 역사에서 전투 지역으로서 요충지였던 강(江) · 현(峴) · 영(嶺) · 성(城) · 책(柵) · 진(鎭)이 적혀 있고, 어느 곳인지 분명하지 않은 곳에 대해서는 저자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고려시대에 관해서는 국도에서 개성부(開城府) · 서경(西京) · 남경(南京) · 동경(東京) · 강도(江都) · 중흥전(重興殿) · 신경(新京) · 북소궁(北蘇宮)에 대한 설명과 봉강 · 형세 · 관방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었다.

이 책에 인용된 사서는 부족국가에 대해서는 주로 『전한서』 · 『후한서』의 동이열전(東夷列傳)이며, 그 밖에 『위씨춘추(魏氏春秋)』 · 『두씨통전(杜氏通典)』 · 『동관서(東觀書)』 등이 인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 자료는 인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단군조선에 대한 서술은 없다.

삼국시대 부분에서는 『동사(東史)』, 김부식(金富軾)의 『고구려지(高句麗志)』, 『고려사』 · 『동국여지승람』 · 『통전(通典)』 · 『문헌통고(文獻通考)』 · 『송사(宋史)』 · 『한서(漢書)』 등이 인용되었으나, 사서의 인용 없이 서술한 부분이 많다. 고려시대에 대하여서는 『고려사』 본기(本紀), 『여지승람』의 인용이 한두 차례 있을 뿐 사서의 인용 없이 서술되고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역사지리학의 창시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의 역사지리 연구에 많은 자극을 주었다.

즉, 오운(吳澐)『동사찬요(東史纂要)』의 지리지(地理志), 유형원(柳馨遠)『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 신경준(申景濬)『강계고(疆界考)』『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의 여지고(輿地考), 안정복(安鼎福)『동사강목(東史綱目)』, 정약용(丁若鏞)『강역고(疆域考)』, 한진서(韓鎭書)『해동역사속(海東繹史續)』의 지리고(地理考) 등에 영향을 미쳤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한백겸의 동국지리지에 대한 일고-역사지리학파의 성립을 중심으로-」(정구복,『전북사학』2, 1978)
「한백겸의 학문과 동국지리지 저술동기」(윤혁면,『진단학보』63, 1987)
「한백겸의 사학과 그 영향」(정구복,『진단학보』63, 1987)
주석
주1

여러 사람의 전기(傳記)를 차례로 벌여서 기록한 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