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재집 ()

목차
관련 정보
모재집
모재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김안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7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김안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74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15권 7책. 목판본. 본래 문인 유희춘(柳希春)이 간행할 계획을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 1574년(선조 7) 문인 허충길(許忠吉)이 유고를 수집해 허엽(許曄)의 교열을 거쳐 편집, 간행하고, 의성서원(義城書院)에 판목을 장치하였다.

1687년(숙종 13) 박세채(朴世采)의 중간서문을 붙여 김구(金構)에 의해 용강서원(龍岡書院)에서 중간되었는데, 대개 초간본과 같다. 권두에 유희춘의 서문과 권말에 허엽의 발문이 있다.

내용

권1∼8에 사(辭) 1편, 부(賦) 4편, 시 1,868수, 권9에 표전(表箋) 37편, 주(奏) 2편, 교서(敎書) 5편, 유서(諭書) 1편, 전지(傳旨) 2편, 서(書) 2편, 소장(疏狀) 4편, 의(議) 4편, 권10에 서계(書契) 11편, 잡저 11편, 권11에 기 16편, 서(序) 11편, 권12·13에 제발(題跋) 3편, 잠 2편, 명 2편, 송(頌) 1편, 축문 8편, 제문 6편, 신도비명(神道碑銘) 5편, 묘갈명 24편, 묘표 11편, 권14에 묘지명 15편, 행장 1편, 권15는 부록으로 행장·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의 <신고당사 信古堂辭>는 구가체(謳歌體)에 의한 것으로 우정을 기리는 작품이다. 부의 <경운도부 慶雲圖賦>·<봉황지부 鳳凰池賦>·<복성부 復性賦>·<동매부 凍梅賦> 등도 모두 사조(詞藻 : 문장의 미사여구)가 강구된 역작들로 음조가 원활하다.

시에는 주로 감정에 따라 즉흥적으로 지은 것이 많다. 비교적 담담하면서도 정일(靜逸)한 가운데 억누를 수 없는 그윽한 흥취가 감도는 일면을 지니고 있다.

경상도 각 고을 학도들을 권계하는 <권성주학도 勸星州學徒> 등의 작품이 66수가 실려 있는데, 저자의 교육에 대한 이념과 열성이 나타나 있다.

그의 글 가운데는 일본사자(日本使者)와 수답한 것이 많은데, 그의 일본사신에 대한 태도는 간성(懇誠 : 간곡하고 성실함.)의 극치를 보인다.

그러나 <서일본인견폐도 書日本人犬吠圖>를 보면 일본에 대한 그의 관념은 존경보다는 비하하는 면이 강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는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일이 있었는데, 왕복 경로의 풍물을 읊은 것이 상당수 들어 있다.

주문(奏文) 가운데 <청견자제입학주 請遣子弟入學奏>는 조선 학생의 명나라 유학을 허용해 달라고 요구한 내용이다. 이것은 결국 실현을 보지 못했으나 당시 조선 지식인들의 여망의 일단을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이 주문에 언급된 조선 유학생 파견 목적은 경훈의리(經訓義理)와 문이한음(文移漢音) 등을 학습, 성취시키는 데 두고 있다.

교서 및 서계에는 <복일본국왕서 復日本國王書>·<복대마도서 復對馬島書> 등등 일본 및 대마도에 보내는 문서가 많이 들어 있다. 주로 교린 관계와 각기 자기 나라 국토 방위에 안전을 기하자는 내용이다. 이 시기 이 방면의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가 되고 있다.

의 가운데 <부경사신수매서책인반의 赴京使臣收買書冊印頒議>는 중국에 가는 사신을 시켜 서적을 사들여서 인출, 반포하자는 논의로 주의를 끈다.

여기에 제시, 해제된 책은 ≪춘추집해 春秋集解≫ 12책, ≪대명률독법 大明律讀法≫ 6책, ≪대명률직인 大明律直引≫ 4책, ≪여씨독시기 呂氏讀詩記≫ 10책, ≪고문관건 古文關鍵≫ 2책, ≪황극경세서설 黃極經世書說≫ 12책, ≪역경집설 易經集說≫ 14책, ≪지재집 止齋集≫ 8책, ≪상산집 象山集≫ 6책, ≪적성논간록 赤城論諫錄≫ 2책, ≪고문원 古文苑≫ 2책, ≪초씨역림 焦氏易林≫ 2책, ≪두시주해 杜詩註解≫ 4책, ≪산해관지 山海關誌≫ 2책, ≪안씨가훈 顔氏家訓≫ 2책이다. 특히 ≪춘추집해≫를 제일 먼저 인출할 것을 건의하고 있다.

이 밖에도 잡저의 <문위국막급어용인 問爲國莫急於用人>·<문아동국자라계침침상화풍 問我東國自羅季浸浸尙華風>·<문인정필자경계시 問仁政必自經界始> 등은 책제(策題)로서, 15, 16세기의 국외 정세 및 국내의 정치·경제·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