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 혜공왕 대에 이제부(利濟府)에 소속된 관직.
이칭
이칭
사지(舍知)
제도/관직
설치 시기
경덕왕 대
폐지 시기
혜공왕 대
소속
이제부
내용 요약

사주(司舟)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 혜공왕 대에 이제부(利濟府)에 소속된 관직이다. 이전의 선부(船府)를 이제부(利濟府)로 고치면서 그 소속 관직인 사지(舍知)를 개칭한 것이다. 이는 혜공왕 대에 모든 관사와 관직의 이름을 복고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사주는 제12관등 대사와 제13관등 사지를 임명하였는데, 그 정원은 1명이다. 그 전신인 선부의 사지는 신문왕 대에 당나라의 관료제를 도입하면서 소속 관원을 ‘영-경-대사-사’의 4단계 조직에서 ‘영-경-대사-사지-사’의 5단계 조직으로 완비하면서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 혜공왕 대에 이제부(利濟府)에 소속된 관직.
설치 목적

사주를 주1에 설치한 목적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곧 항해, 수군, 선박, 선박 항해를 관장하기 위한 것으로 보거나, 공 · 사의 주2과 수군을 장악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다만 『삼국사기』 기사에 따른다면 군선(軍船)과 선박(舟楫)을 이롭게 운영 · 관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변천사항

사주는 경덕왕 때에 이전의 선부를 이제부로 고치면서 그 소속 관직인 사지를 개칭한 것이다. 혜공왕 때에 모든 관명을 복고하면서 사지로 되돌렸다. 『삼국사기』에서 선박 관리와 관련된 기록은 467년(자비마립간 10)에 유사로 하여금 전함을 수리하게 하였다고 하고, 505년(지증마립간 6)에 소사(所司)로 하여금 ‘주즙의 이(利)’를 제정하게 하였다는 데서 살필 수 있다. 이때에는 중앙 관사가 아직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무 관리로 구성된 유사, 소사로 하여금 전함이나 선박 관련 업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그 후 583년(진평왕 5) 정월에 처음으로 선부서(舩府署)의 대감(大監)과 제감(弟監)을 설치하였다고 하는데, 『삼국사기』 직관지에 따르면 병부 소속의 선부서를 설치하면서 병부의 대감과 제감을 임명하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663년(문무왕 3)에는 차관인 (卿)을 중심으로 운영하다가, 678년(문무왕 18)에 장관인 (令)을 두면서 병부와 별도의 독립 관사로 설치하였다.

681년(신문왕 1)에는 사(史)의 정원을 2명 추가하여 8명을 두었고, 688년(신문왕 8)경에 정원을 1명 더 추가하였다. 경덕왕 때에는 선부를 이제부로 고치면서, 그 소속 관리인 사지도 사주로 바꾸었다. 혜공왕 때에 모든 관사와 관직의 이름을 복고할 때까지 사용하였다.

다만 581년(진평왕 3)에는 병부의 대감과 제감이 주즙의 일을 맡았고, 663년(문무왕 3)에 선부서로 설치되었다가, 678년(문무왕 18)에 선부령을 설치하면서 병부로부터 독립하여 승격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에 대해 663년(문무왕 3), 차관인 경을 설치할 때 선부서를 선부로 승격한 것으로 보거나, 583년(진평왕 5)에 설치된 선부서를 사찬 시득(施得)의 소부리주(所夫里州) 주3 해전의 승리 이후인 678년(문무왕 18)에 선부로 승격시킨 것으로 보기도 한다.

사주는 제12관등 대사와 제13관등 사지를 임명하였는데, 그 정원은 1명이다. 그 전신인 선부의 사지를 언제 설치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당나라의 관료제를 도입하면서 신문왕 대에 소속 관원을 ‘영-경-대사-사’의 4단계 조직에서 ‘영-경-대사-사지-사’의 5단계 조직으로 완비하고, 대사직을 ‘대사-사지’로 2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신문왕 대에 선부의 사와 경의 정원을 늘린 것으로 보아, 선부의 사지도 이 무렵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

단행본

박남수, 『신라수공업사』(신서원, 1996)
이인철, 『신라정치제도사연구』(일지사, 1993)
이기동, 『신라 골품제사회와 화랑도』(일조각, 1984)
이기백, 이기동, 『한국사강좌 1』-고대편(일조각, 1982)
이병도, 『국역 삼국사기』(을유문화사, 1977)
井上秀雄, 『新羅史基礎研究』(東京: 東出版, 1974)

논문

전덕재, 「『삼국사기』 직관지의 원전과 찬술에 대한 고찰: 중앙행정관부 기록을 중심으로」(『한국사연구』 183, 한국사연구회, 2018)
김철준, 「한국고대국가발달사」(『한국문화사대계 1』-민족·국가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4)
주석
주1

신라 때에, 선박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경덕왕 때 선부(船府)를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2

배와 삿대라는 뜻으로, 배 전체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일대의 옛 이름. 금강 하구 일대로, 백제 때 사비성을 지키던 중요한 관문이었다. 나당 전쟁 시기에 신라군과 당군 간에 기벌포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