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리주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신라 중대의 지방 통치 구역.
목차
정의
신라 중대의 지방 통치 구역.
내용

백제 멸망 후 수도였던 부여에 설치한 주(州)이다. 660년(무열왕 7)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이 백제의 도성인 사비(泗沘 :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를 함락한 후, 당나라에서는 백제의 옛 땅에 웅진도독부를 위시해 모두 5개의 도독부를 설치하고 군정(軍政)을 실시하려 하였다. 그러나 옛 백제 지역의 대부분에서 부흥 운동이 일어남에 따라 제대로 통치하지 못하였다. 백제 땅에 머물러 있던 당나라 군사는 백제 유민의 부흥 운동에 밀려 고립되었고, 신라의 도움으로 겨우 웅진도독부만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러다가 고구려까지 멸망시킨 당나라와 신라는 급기야 옛 백제 영토의 귀속 문제로 심각하게 대립하게 되었다. 670년(문무왕 10) 당나라 군사가 머물러 있던 웅진도독부와 신라 간의 화친이 깨지고, 신라는 힘으로 옛 백제의 영토를 점령하기 시작하였다. 그 해에 신라의 품일(品日) · 문충(文忠) 등이 백제의 63성을 빼앗아 그 곳 사람들을 신라의 영토로 옮겼다. 또 천존(天存) · 죽지(竹旨) 등이 12성을 빼앗고, 군관(軍官) · 문영(文潁) 등이 12성을 빼앗는 등 모두 87성을 차지하였다.

671년에는 석성(石城)싸움에서 당나라 군사 5,300명을 베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때 신라는 백제의 옛 도성이던 사비를 중심으로 하는 소부리주를 설치해, 여기에 도독(都督)으로 아찬(阿飡)진왕(眞王)을 임명함으로써 신라의 영토에 편입시켰다. 이러한 신라의 태도에 대응해, 당나라는 백제의 부흥 운동군을 사주해 신라와 대항하게 했으나, 672년의 고성성(固省城)싸움과 가림성(加林城 : 지금의 충청남도 임천)싸움을 거쳐 신라의 군대가 백제의 전 영토에 다시 주둔하게 되어 어쩔 수 없이 물러났으며, 웅진도독부는 랴오둥(遼東) 지방으로 옮겨졌다.

당은 신라의 소부리주 설치에 대해 항의하고, 김인문(金仁問)을 문무왕을 대신해 신라 왕으로 삼는 등의 책동을 하였다. 그러나 결국 676년 소부리주 기벌포(伎伐浦 : 지금의 충청남도 장항)해전에서 사찬 시득(施得)이 이끄는 신라군이 주1가 이끄는 당나라 군사를 22차의 전투 끝에 물리침으로써 백제의 옛 땅이 모두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소부리주는 671년에 설치되어 686년(신문왕 5)에 웅천주(熊川州)가 되면서 군으로 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구당서(舊唐書)』
주석
주1

중국 당나라의 장군(614~683). 고구려가 망한 뒤 당나라가 평양에 설치한 안동 도호부의 도호로 부임하였으나, 신라군의 반격으로 세력이 위축되자 신라 문무왕 17년(677)에 도호부를 신성으로 옮겼다.    우리말샘

집필자
차용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