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절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삼절유고
삼절유고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윤섬, 윤계, 윤집 등 3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7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윤섬, 윤계, 윤집 등 3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7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부록 합3책. 목판본. 1672년(현종 13) 윤계의 아들 이명(以明)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시열·정두경(鄭斗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준길(宋浚吉)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윤섬의 유고로 시 22수, 책문 1편, 권2∼8은 윤계의 유고로 시 150수, 교서 1편, 불윤비답(不允批答) 1편, 소(疏) 5편, 차(箚) 4편, 계사(啓辭) 1편, 설(說) 1편, 권9·10은 윤집의 유고로 소·차·계사·대책·설(說) 각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많은 분량은 아니지만 강개한 정신과 우국충정으로 일관되어 있다. 윤섬의 「책문」은 임진왜란 때 나라가 혼란해지자 혼란을 수습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요해처를 지켜 적의 침입을 막을 것, 백성을 한곳에 수용해서 유리하는 폐단을 막을 것, 인재를 뽑아 적은 적을 방어할 것 등을 건의하고 있다.

윤계의 「인구언진시무소(因求言陳時務疏)」에서는 군도(君道)·군비(軍備)·용인(用人)·언로(言路)·재화(財貨)·악인(樂人) 등 국정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개선책을 건의하고 있다.

윤집의 「척화소(斥和疏)」는 청나라와 화친을 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으로, 명나라와의 관계, 특히 임진왜란 때 군대를 보내서 구해준 은공을 잊어서는 안 됨을 강조하였다.

「청물견사노영일의전수차(請勿遣使虜營一意戰守箚)」는 청나라에 강화의 사신을 보내지 말고 국력을 총동원하여 그들과 일전할 것을 건의한 글이다. 병자호란을 연구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영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