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도감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존호를 올리기 위해 수시로 설치한 임시기구.
이칭
이칭
존호도감, 추상존호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존호를 올리기 위해 수시로 설치한 임시기구.
내용

왕·왕후·대비 또는 선왕·선왕후 등에게 시호(諡號)·휘호(徽號) 등을 올리는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의례 담당기구였다. 존호도감(尊號都監)·존숭도감(尊崇都監)·가상존호도감(加上尊號都監)·추상존호도감(追上尊號都監)이라고도 한다.

생존한 왕·왕후의 경우는 ‘존숭’ 또는 ‘가상’으로 칭했고, 작고한 선왕·선왕후의 경우는 ‘추상’으로 불렀다. 왕을 낳은 후궁이나 일찍 죽은 세자 등에게도 존호를 올리는 경우가 있었다.

존호는 본래 왕이나 왕후의 생전 또는 사후에 그 덕성을 찬양, 표창하기 위해 행한 것으로, 3년상이 지난 뒤 종묘에 부묘(祔廟)할 때는 필수적인 전례였고, 그밖에도 수시로 행하였다. 특히, 장수한 왕·왕후의 경우는 여러 차례 올리기도 하였다.

왕·왕후에 따라 개별적으로 존호가 행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보통은 한 번의 도감에서 여러 명의 왕·왕후를 한꺼번에 존숭하였다. 부묘시의 상호도감은 부묘도감과 함께 설치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부묘도감에서 겸하는 것이 관례였다.

기타 경우의 상호도감은 책례도감(冊禮都監)과 같은 규모로 구성되는데, 보통 의정급 도제조 1인, 판서급 제조 3인, 당하관인 도청 2인, 낭청 6인, 감조관(監照官) 6인 및 잡직·서리·군사 등으로 조직되었다. 남별궁(南別宮) 등에 임시사무소가 개설되었다.

도감은 업무 분장을 위해 도청을 1방·2방·3방·별공작(別工作) 등으로 편제하였다. 1방은 옥책문(玉冊文)·악장(樂章)·제술·서사(書寫), 2방은 옥보(玉寶) 또는 금보(金寶)의 서사·제작, 3방은 각종 의장(儀仗)·문물의 준비, 별공작은 대소기구의 제작과 영선 업무를 담당하였다.

상호도감의 주요 행사는 존호의 수여장격인 옥책(玉冊), 증표인 옥보 또는 금보의 제작과 그 증정식 및 이에 따르는 제반의례·연회의 준비와 진행이었다. 존숭·상호의 행사는 국가의 큰 행사로 여겨져 죄수가 사면되고 경과(慶科)인 증광시가 설행되기도 하였다. 상호도감의 행사 내용은 의궤(儀軌)에 수록, 보존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존숭도감의궤(尊崇都監儀軌)』
『존호도감의궤(尊號都監儀軌)』
『상호도감의궤(上號都監儀軌)』
『가상존호도감의궤(加上尊號都監儀軌)』
『추상존호도감의궤(追上尊號都監儀軌)』
『현종추상존호영조사존호상호도감의궤(顯宗追上尊號英祖四尊號上號都監儀軌)』
『장헌세자추상혜빈추상존호도감의궤(莊獻世子追上惠嬪追上尊號都監儀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