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담문집 ()

목차
관련 정보
홍위의 서담문집 중 권수면
홍위의 서담문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홍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5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홍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785년(정조 9) 5대손 한(瀚)이 편집, 간행하였다. 채제공(蔡濟恭)의 서문과 이광정(李光靖)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177수, 권3에 소(疏) 1편, 서(書) 20편, 권4에 제문 7편, 묘갈(墓碣) 3편, 잡저 8편과 부록을 싣고 있다.

시는 대체로 서경(敍景)을 겸한 서정시가 주종을 이루고 있어, 조선 중기의 시적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소는 1609년(광해군 1) 사간원 재직시에 올린 것인데, 내용은 대체로 왕에게 부지런히 공부할 것과 직언(直言)을 배척하지 말 것, 그리고 군부세(軍賦稅)를 줄이고 외적을 물리칠 계책을 세우라고 건의한 것이다.

서 중 「상체찰사오리이상공원익(上體察使梧里李相公元翼)」은 이원익이 남쪽 지방을 순찰할 때에 올린 편지인데, 명나라와 일본간의 화의(和議)를 반대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상순찰사(上巡察使)」에서도 역사적 사실을 예시하면서 산성을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사수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이밖에 스승인 유성룡(柳成龍)을 비롯하여 이준(李埈)·정경세(鄭經世) 등에게 준 편지는 저자의 교유관계를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잡저의 「사문문답(師門問答)」은 유성룡에게 치도(治道)·시사(時事) 등을 물은 것이며, 「문목(問目)」은 미성년인 아들이 죽음에 복제(服制)에 관하여 장현광(張顯光)에게 물은 내용을 적은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임진왜란 당시의 정치사회상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영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