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문집 ()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한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한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2책. 활자본. 철종 연간에 10대손 용익(用翼)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기찬(金基纘)의 서문과 권말에 용익 등의 발문 2편이 있다. 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단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0수, 유사 5편, 부(賦) 4편, 책(策) 1편, 소(疏) 2편, 권2에 서(書) 4편, 기(記) 1편, 송(頌) 1편, 명(銘) 1편, 계사(啓辭) 2편, 경연진계(經筵陳啓) 15편, 습유(拾遺) 1편, 공장(供狀) 1편, 권3에 어류습유(語類拾遺)·사실습유(事實拾遺), 권4∼7은 부록인데 권4에 행장·시장(諡狀)·묘갈명·신도비명, 권5에 청액소(請額疏)·상량문·제문·축문·삼송정기실(三松亭記實)·팔자병발(八字屛跋) 등 11편, 권6에 부황경시견증(赴皇京時見贈)·부충청수영시견증(赴忠淸水營時見贈)·만사, 권7에 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저자가 거제도로 유배를 떠날 때 아우와 이별하는 슬픔을 읊은 것이 4수 있는데, 모두 애절한 표현으로 되어 있다. 「재아산착정작(在牙山鑿井作)」·「영선자(詠扇子)」 등에는 생활의 정서가 잘 묘사되어 있다.

소에는 조광조(趙光祖)의 구제를 요청한 것과 시폐(時弊)의 척결을 주장한 상소문이 있다. 「제뢰양필송(帝賚良弼頌)」은 1513년(중종 8) 별시에서 장원한 글이다. 「청개정정국공신계(請改正靖國功臣啓)」·「시독관시계(侍讀官時啓)」 등과 공장의 「옥중공사(獄中供辭)」는 기묘사화를 연구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부황경시견증」은 저자가 1518년 남곤(南袞)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갈 때 최수성(崔壽峸)·박상(朴祥)·김정(金淨)·김구(金絿)·조광조 등 기묘명현들이 지어 준 증별시이다.

의의와 평가

이 문집은 기묘사화의 전말 등 중종 때의 정치 상황을 살펴보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집필자
권영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