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박해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사건
1801년(순조 1) 신유년에 일어난 천주교도 박해사건.
이칭
이칭
신유사옥
목차
정의
1801년(순조 1) 신유년에 일어난 천주교도 박해사건.
내용

천주교회는 1785년의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 등으로 순교자들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1794년 말에는 중국인 신부 주1를 영입하는 등 조직적인 교회활동으로 1800년에는 교인 1만 명으로 교세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천주신앙의 전파에 대하여 천주교를 공격하는 공서파(攻西派)의 세력에 의한 성토 · 상소 · 박해운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정조는 “사교(邪敎)는 자기자멸(自起自滅)할 것이며 유학의 진흥에 의해 사학을 막을 수 있다.”고 적극적 박해를 회피하였다. 또한 천주교를 신봉하는 양반 남인 시파(時派)의 실권자인 재상 채제공(蔡濟恭)의 묵인도 있었다. 그러나 정조(1800년)와 채제공(1799년)이 죽자 정계의 주도세력이 벽파(僻派)로 바뀌면서 박해가 일어나게 되었다.

정순왕후 대왕대비 김씨가 어린 순조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벽파는 남인 시파의 세력을 꺾기 위하여 대왕대비를 움직여 시파와 종교적 주2에 대하여 일대 정치적 공세를 취하게 되었다.

벽파는 천주교를 주3의 멸륜지교(滅倫之敎)로 몰아붙여 탄압을 가하였다. 또한 그의 배후 정치세력을 일소하고자 1801년 1월 10일(음) 대왕대비는 박해령을 선포, 전국의 천주교도를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주4을 동원한 수색에서 많은 교인들이 체포되었고 300여 명의 순교자가 생겼다. 신유박해의 대표적 순교자로는 중국인 주문모와 초대 교회의 창설자인 지도적 평신도들이었다. 주문모는 한때 피신하였다가 스스로 의금부에 나타나 취조를 받은 뒤 새남터에서 주5되었다.

그리고 초기교회의 지도자이던 이승훈(李承薰) · 정약종(丁若鍾) · 최창현(崔昌顯) · 강완숙(姜完淑) · 최필공(崔必恭) · 홍교만(洪敎萬) · 김건순(金健淳) · 홍낙민(洪樂敏) 등은 주6 밖에서 참수(斬首)되었고, 왕족인 송씨(宋氏 : 정조의 庶弟인 恩彦君의 부인)와 신씨(申氏 : 恩彦君의 며느리)도 사사(賜死)되었다. 한편, 지방교회 지도자들도 다수

내포교회(內浦敎會)주7의 사도로 불리던 이존창(李存昌)은 공주에서, 전주교회의 지도적 교인이던 유항검(柳恒儉) · 관검(觀儉) 형제는 전주에서 순교하였다.

신유박해는 한국천주교회에 가해진 최초의 대대적인 박해로,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살아남은 교도들은 위험을 피하여 경기도의 야산지대나 강원도나 충청도의 산간지방, 태백산맥 · 소백산맥의 심산유곡에 숨어, 천주신앙의 전국적 확산을 촉진하였다. 한편, 종래 지식인 중심의 조선천주교회가 신유박해를 전후하여 서민사회로 뿌리를 내리게 된 점도 신유박해와 관계되는 천주교회 발전의 모습이었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신유년(辛酉年)에 있어서의 신문상황」(홍이섭, 『아세아학보』 8-2, 1965)
「황사영(黃嗣永) 백서(帛書)의사회사상적배경」(조광, 『사총』 21·22합집, 1977)
「신유박해(辛酉迫害)의 성격」(조광, 『민족문화연구』 13, 1978)
Histoire de l'Eglise de Coree(Dallet, 1874)
주석
주1

중국 청나라의 신부(1752~1801). 베이징(北京) 주교(主敎) 구베아(Gouvéa)의 명령을 받고 서울로 들어와 선교하다가, 신유박해 때 의금부에 자수하여 사형당하였다.    우리말샘

주2

조선 후기에, 서교(西敎)나 서학(西學)의 신봉을 슬며시 인정하던 세력.    우리말샘

주3

어버이도 임금도 안중에 없을 만큼 행동이 막됨.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범죄자의 색출과 세금 징수ㆍ부역의 동원 따위를 위하여 다섯 민호(民戶)를 한 통씩 묶던 호적 제도. 성종 16년(1485)과 숙종 원년(1675)에 시행하였으며, 헌종 때에는 천주교를 탄압하는 데 이용하였다.    우리말샘

주5

예전에, 죄인의 목을 베어 군문 앞에 매어 달던 일.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사소문의 하나. 서울의 서남쪽 지금의 덕수궁 위쪽에 있던 소문(小門)으로 소의문을 고친 것이다.    우리말샘

주7

충청남도 내포 지방을 중심으로 한 천주교 교회를 이르는 말. 내포 지방은 아산만 부근과 공주, 논산, 부여, 서천 지역을 이르며, 1784년부터 천주교 신앙이 전파되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원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