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칼 (칼)

신칼
신칼
민간신앙
물품
무당들이 굿할 때 사용하는 기명(器名) 가운데 하나.
내용 요약

신칼은 무당들이 굿할 때 사용하는 기명(器名) 가운데 하나이다. 칼, 무칼, 명도칼, 대신칼, 신명도, 대번지, 시왕대번지 등으로도 불린다. 신칼은 무속 사회에서 방울, 거울 등과 함께 중요한 무구로 간주된다. 신칼은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되어 있으며, 20∼30㎝의 놋쇠 칼에 40㎝ 정도의 한지 술을 길게 달고 있는 형태이다. 신칼의 주요 기능은 굿을 하면서 춤을 추거나 악귀를 쫓는데 쓰이며, 점을 치는 점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화랭이(남자 무당)가 굿의 마지막 거리인 거리굿에서 굿에 모인 잡귀를 물리칠 때 사용한다.

정의
무당들이 굿할 때 사용하는 기명(器名) 가운데 하나.
개설

명은 ‘귀명’으로 달리 이르기도 하는데, 주구(呪具)인 동시에 무점구(巫占具)이다. 신칼은 칼 · 무칼 · 명도칼 · 대신칼 · 신명도 · 대번지 · 시왕대번지 등으로 불리며, 지역에 따라서 여러 가지 크기가 있지만, 골고루 차비해두는 무구 가운데 하나이다.

신칼의 주요 기능은 굿을 하면서 춤을 추거나 악귀를 쫓는데 쓰이며, 점을 치는 점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신칼은 흔히 단군신화(檀君神話)천부인(天符印)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 이것은 최남선(崔南善)이 『단군고기전석(檀君古記箋釋)』에서 피력한 것으로, 신칼의 내력을 밝혀주는 견해라 하겠다.

구조 및 형태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되어 있으며, 20∼30㎝의 놋쇠 칼에 40㎝ 정도의 한지 술을 길게 달고 있는 형태이다. 신칼의 종류에는 이런 일반적인 대〔竹〕 신칼 이외에 놀이 칼과 월도(月刀) 등이 있다.

놀이 칼은 넓이 4㎝, 길이 25㎝정도의 대쪽에 50㎝정도의 한지 술을 단 것으로 화랭이(남자 무당)가 굿의 마지막 거리인 거리굿에서 굿에 모인 잡귀를 퇴송(退送)시킬 때 사용하며, 주1에서는 망자의 넋을 올릴 때도 사용한다. 월도는 60∼70㎝정도의 나무자루에 달 모양의 칼이 끼워진 형태로, 병굿에서 잡귀를 쫓는 등 몇 개의 거리에서 월도를 오른손, 삼지창을 왼손에 두고 사용한다.

사용 방법 및 특징

신칼은 강신무권과 세습무권에 모두 사용한다. 그러나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고 신의 영험함을 드러내는데 있어서 가장 선명한 예증을 지닌 곳은 제주도이다. 신칼(시왕대번지, 멩두칼)은 제주도에서 방울(천앙낙화옥술발), 산판 등과 합쳐서 “삼멩두”라고 한다. 삼멩두는 무구 이름이기도 하고, 「초공본풀이」에서 등장하는 세 명의 무조(巫祖)인 아이 적 이름을 뜻하기도 한다. 그만큼 제주도의 「초공본풀이」와 무구 삼멩두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신칼은 점치는 도구 가운데 하나이다. 군문(軍門) 열림과 같은 구체적인 절차에서나 특정한 절차를 마치고 신의(神意)나 신탁(神託)을 알아내는데 있어서 신칼점은 결정적인 구실을 하게 된다. 육지의 경우에는 한 벌로 되어 있지만, 제주도에서는 신칼이 두 개이므로 이에 의한 신칼점이 각별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특히 신칼의 날 방향과 칼등이 서로 맞물리는데 따라서 점사를 타진하는데, 그에 대한 세부적인 형상에 대한 명칭이 존재한다. 왼ᄌᆞ부다리, ᄌᆞ단ᄌᆞ부다리, 등진ᄃᆞ리, 칼썬ᄃᆞ리, 애선ᄃᆞ리 등이 이러한 두 칼날을 놓고 치는 다리의 방향에 따른 점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더욱 중요한 것은 「초공본풀이」에서 형상화된 여러 가지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있다. 노가단풍자지멩왕아기씨가 겪는 고난의 과정에서 신칼 손잡이 처음에 있는 만주애미기의 뱀 형상이 일정하게 본풀이와 관련되었다는 것이 그러한 상징의 일면이다. 또한 신칼 끝에 매달아서 의미를 부여하는 신칼초매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민간어원설과 같은 민간해명설이다.

이 신칼을 가지고 무당(심방)이 입무의례를 행하는데, 그 절차에서 신칼을 두고 일정하게 수수께끼를 행한다. 그 절차는 각별하며, 그 과정에서 신칼을 들고 무당의 입무의례를 완성하는 “시왕곱은연질”과 같은 절차를 이룩하는 대목에서 상징성은 극대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를 도외시하더라도 신칼을 두고 이루어지는 상징적 절차 이상의 역사적 의미를 부과할 수도 있다.

가령 신칼은 육지의 굿에서도 긴요한 구실을 하게 된다. 내림굿에서 신칼로 머리를 자르는 형국을 하거나, 신칼을 감추고 찾으라고 하는 등의 의례적 과정은 신칼을 통해서 신의 세계를 넘나드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신칼은 무속사회에서 방울 · 거울 등과 함께 중요한 무구로 간주된다. 나아가 일본신화에 보이는 3종의 신기(神器)와 견주어질 수 있는 무구 가운데 하나로, 신칼의 민간신앙사적 의의가 돋보인다. 또한, 신칼은 청동기 시대 청동검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2에서 유리 같은 인물이 신화적으로 검을 찾고 이를 통해 왕위계승권을 이어간다는 점은 단골판을 구실로 해서 세습무권을 이어가는 절차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논고』(장주근, 계몽사, 1986)
『한국의 무』(조흥윤, 정음사, 1983)
『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단군고기전석』(최남선, 『사상계』, 1954)
주석
주1

죽은 이의 영혼을 깨끗이 씻어 주어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풀고 극락왕생하기를 비는 굿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주몽의 출생과 즉위에 관한 신화. 천제(天帝)의 아들인 해모수와 하백의 딸인 유화 사이에서 태어난 주몽이 동부여의 금와왕의 아들 대소(帶素)의 모해(謀害)를 피하여 졸본에 고구려라는 나라를 세웠다는 내용이다. 김부식의 ≪삼국사기≫, 일연의 ≪삼국유사≫,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편>에 실려 전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헌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