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숙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낭장, 응방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낭장|응방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낭장, 응방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응방(鷹坊: 매를 기르는 관청) 소속으로 벼슬은 낭장(郎將)이었다. 충렬왕(忠烈王) 초에 방장대(方丈大) 등과 함께 스스로 선전소식(宣傳消息: 고려시대 임금이 각 지방의 관아에 금품이나 양곡 따위를 요구할 때 내리는 글) 세 통을 만들어 이정(李貞)을 통해 올렸다.

그러면서 말하기를 “나주(羅州)·장흥(長興) 관내의 여러 섬사람들은 응방에 전속하게 하고, 또 홍주의 곡양(曲陽) 촌민의 호구(戶口)를 편적(編籍)하여 모두 응방에 속하게 하며, 삼도(三道) 내에 능히 매를 잡을 수 있는 자는 인원수에 한정됨이 없이 모두 요역(徭役)을 면하게 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승선(承宣)에게 명하여 바로 옮겨 적어 행하도록 하고 모두 오숙부 등의 지휘를 받게 하였다.

또 충렬왕 초에 전라도안찰사(全羅道按察使) 안전(安戩)과 장흥부사(長興府使) 신좌선(辛佐宣) 등이 자기에게 인사를 하지 않았다하여, 이에 대한 보복으로 국왕에게 보고하기를 “안전과 신좌선이 매를 굶어 죽게 하였습니다.”고 참소(讒訴)하여 파면시키기에 이르렀다. 응방의 직에 있으면서 그것을 기화(奇貨)로 양민을 매우 괴롭힌 바가 매우 컸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집필자
황운룡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