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궤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추밀원사, 판삼사사, 수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공제(公濟)
시호
문간(文簡)
이칭
이재(李載)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22년(예종 17)
본관
청주(淸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추밀원사(樞密院使)|판삼사사(判三司事)|정당문학판한림원사겸태자소부(政堂文學判翰林院事兼太子少傅)|호부상서판예부사(戶部尙書判禮部事|수사공참지정사(守司空參知政事)
정의
고려 전기에, 추밀원사, 판삼사사, 수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초명은 이재(李載)이며, 자는 공제(公濟)이다. 예부시랑(禮部侍郎) 이유적(李攸績)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선종 때 소부주부(少府注簿)로서 왕의 명을 받아 송나라에 보내는 표문(表文)을 교정하였는데, 잘못하여 요나라의 연호 대안(大安)을 사용하였다. 그 표문이 송나라에서 되돌아오자 이에 연좌되어 이듬해 2월 파면되었다.

1100년(숙종 5) 9월에 예부낭중(禮部郎中)으로 요나라에 회사사(回謝使)로 갔는데, 그 때 일행 중 공목관(孔目官) 이복(李復)이 의천(義天)의 청으로 금종(金鐘)을 요나라에 바친 일이 문제가 되어, 귀국 후 그것을 막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형부(刑部)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다.

1106년(예종 1) 3월 이재는 김연(金緣)·최선(崔璿)·이덕우(李德羽)·박승중(朴昇中) 등 10여 명과 더불어 지리와 관련된 여러 사람들의 책을 교정하여 음양지리서인 『해동비록(海東祕錄)』을 편찬하였다. 같은 달에 중서사인(中書舍人, 정4품)으로 안지충(安之忠) 등 89명을 뽑았다. 1108년(예종 3년) 5월 국자좨주(國子祭酒)로서 동지공거(同知貢擧)에 임명되어 지공거(知貢擧) 예부상서 이위(李瑋)와 더불어 진사를 뽑았다. 이 시기 이재는 국왕 예종의 측근 관료로 급부상하였다.

1109년(예종 4) 2월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로서 여진정벌로 흐트러진 민심을 살필 뿐만 아니라 9성 반환을 반대하는 상소를 예종에게 올렸다. 1109년(예종 4) 11월에는 김연·최계방 등과 더불어 윤관(尹瓘)·오연총(吳延寵)·임언(林彦)의 패군죄(敗軍罪: 전쟁에서 패한 죄)를 다스리도록 요청하기도 하였다. 1110년(예종 5) 7월에는 사재경(司載卿)으로서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되었고, 1113년(예종 8) 정월에는 지형부사(知形部事, 정3품)로서 서북면병마사를 역임하였다. 1111년(예종 6) 12월 전중감(殿重監)이 되고, 1114년(예종 9) 3월에 형부상서 연영전학사(刑部尙書延英殿學士, 정2품)로 각각 승진하였다.

1117년(예종 12) 2월 추밀원사(樞密院使)가 되었다가 뒤이어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었고, 12월 정당문학 판한림원사 겸 태자소부(政堂文學判翰林院事兼太子少傅)가 되었다. 이듬해 정월 예부시를 주관하였고, 3월 호부상서 판예부사(戶部尙書判禮部事)가 되었고, 1119년(예종 14) 6월 수국사(修國史)가 되었으며, 이듬해 6월 수사공 참지정사(守司空參知政事)로 치사(致仕)하였으며, 1122년 7월 세상을 떠났다.

이재는 일찍이 박경작(朴景綽)·김황원(金黃元)·최선·이덕우 등과 함께 상정관(詳定官)에 임명되어 예의(禮儀)를 제정하였고, 왕의 문서를 맡아보던 관청인 한림원(翰林院)에 있으면서 이름을 드높였다. 이러한 사실에서 그가 과거급제자 출신으로서 뛰어난 문장 실력을 갖춰 예종의 총애를 받았던 대표적 문신이었음을 알 수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대의 정치변동과 대외정책』(이정신, 경인문화사, 2004)
『고려 예종대 정치세력 연구』(김병인, 경인문화사, 2003)
「12세기 초 고려의 개혁 추진과 정치적 갈등」(채웅석,『한국사연구』112, 2001)
「윤관세력의 형성: 윤관의 여진정벌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의 검토를 중심으로」(정수아,『진단학보』66, 1988)
집필자
민병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