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규 ()

이남규 영정
이남규 영정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 의사(義士).
이칭
원팔(元八)
산좌(汕左), 수당(修堂)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5년(철종 6)
사망 연도
1907년(고종 44)
본관
한산(韓山)
출생지
충청남도 예산
정의
대한제국기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 의사(義士).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원팔(元八), 호는 산좌(汕左)·수당(修堂). 충청남도 예산 출신. 이호직(李浩稙)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淸松沈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1년 허전(許傳)의 문하에 들어가 일찍이 유학으로 이름을 떨쳤다. 1875년(고종 12)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883년 승문원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에 올랐다. 1885년 홍문관교리에 임명되고, 그뒤 부수찬·수찬을 역임하였다.

1893년 부호군을 지낸 뒤 1896년 안동부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898년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내고, 1902년 궁내부특진관이 되었다.

한편, 1894년 5월 일본공사 오도리[大鳥圭介]가 군대를 이끌고 서울에 입성하자 상소를 올려 일본의 무도함을 규탄할 것을 요구하였고, 갑오경장의 부당성과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의 통분함을 상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영흥부사의 직을 사임하고 향리로 돌아갔다.

1906년 병오의병 당시 홍주에서 거의하였던 민종식(閔宗植)이 일본군에 패하여 은신을 요구하자 숨겨 주었으며, 이 일로 인하여 의병과 관련 있다 하여 1907년 공주옥에 투옥되었다가 며칠 뒤 온양 평촌 냇가에서 아들 이충구(李忠求)와 함께 피살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만수졸사(晩修拙辭)』(이남규)
『독립유공자공훈록』1(국가보훈처, 1986)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구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