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대성산성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평양 대성산성 남문 정면
평양 대성산성 남문 정면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대성구역 대성산(大城山)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 시기에 능선을 따라 타원형으로 축조된 석축 성곽. 산성.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대성구역 대성산(大城山)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 시기에 능선을 따라 타원형으로 축조된 석축 성곽. 산성.
내용

묘향산맥으로부터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는 한 지맥(支脈)이 대동강 북안에 이르러 끝나면서 높이 274m의 고지를 중심으로 대성산을 이룬다. 대성산성은 바로 이 대성산의 6개 고지인 소문봉·을지봉·장수봉·북장대·국사봉·주작봉 등을 연결하는 능선을 따라 타원형으로 축조된 석축산성(石築山城)이다.

성벽의 총 길이는 7,218m이고, 성 내의 총 면적은 2,723㎢로 우리 나라의 산성 중 규모가 가장 큰 편에 속한다. 형태는 집안(集安)의 환도성(丸都城)과 비슷하다. 이 산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58년 5월부터 약 3년간 5차에 걸쳐 북한에 의해 실시되었다.

대성산성의 주변에는 남쪽 1㎞ 거리에 안학궁지(安鶴宮址)가 있고, 서남방에 청암리토성(淸巖里土城)과 장안성(長安城)이 있고, 산성의 좌우편 구릉에 다수의 적석총(積石塚)·봉토분(封土墳)·벽화고분(壁畵古墳) 들이 떼를 지어 분포해 있다. 이로 볼 때, 대성산성은 평양지역의 고구려 도성(都城)과 짝을 이룬 중요한 산성임을 알 수 있다.

성벽의 축조방법은 지역마다 차이가 나 대략 세 가지의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성의 남쪽에 위치한 소문봉 성벽은 사각추(四角錐) 또는 사각추대(四角錐臺) 형태로 거칠게 다듬은 사암(砂岩)을 사용하였다. 기초부는 비교적 큰 석재를, 위로 올라갈수록 작은 석재를 사용하였다. 지표부분의 성벽 너비는 33m 내외이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조금씩 더 넓어졌다. 지하에 묻힌 기초부에는 약 1.5m 거리마다 15∼20㎝ 정도의 공간을 만들어 지하수의 압력을 완화시켰다. 지하 토대로부터 현존 성벽 상부까지의 높이는 2.5∼4m 정도이다.

성벽 기초부에는 압력에 의해 성벽이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계단식 보강시설을 하였다. 외벽쪽은 큰 막돌을 사용해 성벽에서부터 경사를 따라 계단식으로 4∼5단을 쌓아 내려갔다. 하단간의 높이는 5.5∼1m, 너비는 1.5∼2m 내외이다. 이 보강시설의 표면은 토사로 덮여 있었고, 계단을 축조한 돌 사이에는 점토를 다져 넣어 견고하게 하였다.

성 내부에는 비교적 너비가 넓은 내황(內隍)을 만들어 놓았다. 원래의 성벽 높이는 적어도 5m 이상으로 추정된다.

둘째, 성 내 서편 주작봉의 남쪽으로는 남문지(南門址)에서 시작되는 약 980m 가량의 이중성벽이 있다. 재료와 성벽을 수직으로 곧게 쌓은 방법은 소문봉 성벽과 유사하다. 기초부는 암반(岩盤)이나 원토층까지 파 내려가 그 위로 비교적 큰 돌을 사용해 0.5∼1m 높이로 형성하였으며, 상부로부터의 압력을 막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큰 돌을 버티어 놓았다. 구릉을 이용한 내탁공법(內托工法)을 사용해 내면에 막돌과 점토를 다져놓아 성벽을 고정시켰다.

셋째, 성의 서남쪽 계곡에 설치한 남문지의 160m 구간과 그 주변 경사지에 쌓은 약 100m 구간의 성벽은 토석혼축(土石混築)이었다. 성벽의 너비는 약 30m이다. 내외협축(內外夾築)을 하여 외측은 석재로 너비 약 4.6m, 높이 4m로, 내측은 너비 2.2m, 높이 약 3m로 축조하였다. 내외측 사이의 10여 m의 공간은 점토와 막돌로 메웠다.

기초부는 지하 1.3∼1.5m 깊이에서 축조하기 시작해 위로 올라갈수록 매 층 약 2∼3㎝씩 뒤로 물려 쌓은 계단식 물림쌓기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고구려 축성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 중 가장 높은 곳은 약 5.5m이다.

남문지는 대성산성 4개 문지(門址) 중 가장 낮은 지역에 속한다. 성벽에서 20m 정도 凸형으로 돌출되어 있어 집안 환도성의 동문(東門)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성 내 북쪽에 위치한 북장대는 명칭과 입지조건으로 보아 장대지(將臺址)로 추정된다.

산성 내에는 10여 개의 연못이 있는데 그 중 6개가 동편 저지에 몰려 있다. 대체로 방형(方形) 또는 장방형이며 하부는 석재로 쌓은 반면, 상부는 흙을 사용해 방대형(方臺形)으로 조성하였다.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잉어못의 경우, 한 변이 27m되는 대형이며, 깊이는 현재 1m 정도지만 원래는 더 깊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못의 주변 5∼6m 거리에는 예외없이 조잡하게 석축한 우물을 만들어 식수를 해결하였다. 성 내의 거의 중앙부에서는 곡창유지가 발견되었다. 이 곳에서는 다수의 고구려 적색 기와[赤色瓦]와 탄화(炭化)된 곡식·목탄(木炭)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곡식은 주로 조·수수·밀 등이었다.

또한 건물지로 추정되는 곳이 18개소가 있으며, 이들 건물지에서 많은 기와편[瓦片]이 수습되었다. 기와는 적색 점토로 만들었으며 문양이 다양해 약 20여 종으로 구분된다. 막새 중 암키와막새는 전혀 없었다. 기와의 문양이 다양하고 경도(硬度)도 각기 차이가 나는 것은 지역적 차이에 의한 것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성 내부의 건물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수축 또는 증축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 내 북서쪽에 위치한 국사봉의 남쪽 성벽 근처에서는 소상(塑像) 2좌(座)가 발견되었다. 남상(男像, 臺座높이 2㎝)은 청동에 도금한 것으로 높이는 8.5㎝였다. 여상(女像, 대좌 높이 1.9㎝)은 앞면은 순금판으로, 뒷면은 순은판으로 되어 있었으며 높이는 5㎝였다.

이 둘은 5㎝×4.3㎝ 크기의 입구를 통해 내부를 8㎝×7.5㎝×11㎝ 크기로 토막(土幕) 내지 동굴처럼 판 15.7㎝×11.5㎝×15.3㎝ 크기의 석회석 내부에 안치되어 있었다. 둘 다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는 고구려시대의 불상조각으로서, 제작연대는 4세기 말∼6세기로 추정된다.

대성산성에서 출토된 막새의 문양은 고구려 태왕릉(太王陵)이나 장군총(將軍塚) 등에서 발견된 것과 동일하다. 그 태토(胎土)도 점토와 가는 모래가 혼합되어 고구려 중기 이후의 회청색토기(灰靑色土器)와 구분된다. 이를 근거로 축조시기는 대략 4세기 말∼5세기 초로 추정하고 있다. →대성산성

참고문헌

『대성산일대의 고구려유적에 관한 연구』(채희국, 사회과학원출판사, 1964)
「대성산의 고구려유적」(김일성종합대학출판부, 김일성종합대학 『고고학 및 민속학강좌』, 1972)
「高句麗の平壤城及ひ長安城について」(關野貞, 『朝鮮の建築と藝術』, 岩波書店)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