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해 ()

외교
인물
일제강점기 때, 프랑스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하였고, 고려통신사라는 이름으로 한국 관련 저서들을 저술한 문인 · 언론인 · 교육자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2년(고종 39)
출생지
부산
내용 요약

서영해는 일제강점기 프랑스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문필가, 언론인이다. 1902년 부산 출생으로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다가 중국 상해로 망명해 김규식을 만났다. 김규식의 권고로 프랑스로 건너가 고려통신사라는 이름을 걸고 일제의 한반도 강탈과 잔악한 만행을 알리는 3권의 책을 출간하였다. 상해임시정부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하던 1932년 안창호가 체포되자 일본의 야만적 억압에 항의하는 호소문을 프랑스 언론에 배포하였다. 해방 후 귀국해 기자 자격으로 남북교섭에 참가하였으나 남한단독정부수립에 회의를 느껴 프랑스로 돌아가던 중 소식이 끊겼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프랑스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하였고, 고려통신사라는 이름으로 한국 관련 저서들을 저술한 문인 · 언론인 · 교육자 · 독립운동가.
개설

1920년대 프랑스로 유학을 간 한국인 유학생이다, 파리에서 상해임시정부 파리주재영사를 역임하였고, 1929년 한국역사소설 『어느 한국인의 삶과 주변(Autour d’une vie Coreenne)』을 파리에서 발간하여 한국민족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하는 역사적인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생애

서영해의 본명은 서희수(徐羲洙). 1902년 부산에서 태어나 1919년 17세에 3 · 1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경찰을 피해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임시정부 외무총장을 맡고 있던 김규식을 만났다.

애초 미국유학을 바랬었던 서영해에게 김규식은 그 무렵 세계 외교 무대의 중심을 이루고 있던 프랑스로 갈 것을 권했다. 서영해는 김규식의 권고를 받아들여 프랑스로 가는 여권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중국인 양자가 돼서 국적을 바꾼 다음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 정착했다.

서영해는 프랑스에서 초등학교부터 고교까지 10년 과정을 6년 만에 졸업했다. 이후 고려통신사라는 이름으로 한국 관련 저술들을 출간하고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 활동했다.

활동사항

1929년 서영해는 파리 시내 자신의 숙소 7, rue Malebranche에 ‘Agence Korea’ 즉 고려통신사(高麗通信社)라는 간판을 내걸고 출판 및 선전활동에 나섰다. 이를 통해 유럽 각국 언론사에 일제의 한반도 강탈과 잔악한 만행을 알리는 데 전념했다. 고려통신사라는 이름으로 출간된 책은 세 권이다.

첫 번째 책은 1929년에 발행된 『어느 한국인의 삶과 주변』(Autour d’une vie Corēenne)이라는 소설이다. 이것은 서영해 자신이 프랑스어로 집필한 처녀작으로서, 한국인 최초의 불어소설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백승조라는 주인공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이 소설은 단군신화로부터 구한말 국제정세와 청일, 러일전쟁 등이 묘사된 것으로, 소설이라기보다는 일종의 당시 한국 상황을 알리는 보고서였다. 그는 3 · 1운동의 「독립선언서」 전문을 프랑스어로 번역 · 수록함으로써 한국인의 독립에 대한 의지를 널리 알리고자 했다.

두 번째는 1933년에 간행한 『만주의 한국인들 : 이승만 박사의 논평과 함께 리튼 보고서 발췌』이다. 이 책은 이승만이 국제연맹에 한국문제를 제출하기 위한 선전 자료로서 요긴하게 활용되었던 것인데, 그 발행처가 바로 고려통신사였다.

세 번째는 1934년에 출간된 『거울, 불행의 원인(Miroir, cause de malheur)』이다. ‘흥부와 놀부’라든가 ‘심청전’과 같은 우리의 전래 동화와 풍물을 콩트 형식을 빌려 소개한 이 책은 “어린 시절의 대지를 찾아가는 한 남자의 탐색”이다.

동시에 서영해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특파원으로도 활동했다. 그러한 계기는 1932년 4월 29일 중국 상해 홍구공원에서 벌어진 윤봉길 의사의 폭탄투척사건에서 비롯되었다. 이 사건으로 안창호 피체 후 상해임시정부는 파리의 서영해에게 그러한 사실을 즉각 통보하고 프랑스정부에 대한 항의와 더불어 석방 교섭을 지시했다.

서영해는 5월 17일자 프랑스 언론에 배포한 호소문인 「유럽의 자유양심에 고함(APPEL A LA CONSCIENCE LIBRE DE L’EUROPE)」을 통하여 한국인들이 일본의 야만적인 억압을 받고 있음을 알리면서, 상해 프랑스 조계에서의 안창호 체포는 모든 프랑스인들이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정치적 망명가들에 대한 환대의 전통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서영해는 통신사 프리랜서로 중동은 물론, 아프리카까지 오가며 취재한 기사를 프랑스 언론에 기고했다. 저널리스트가 돼 보겠다는 꿈을 이룩하기 위해서 고학한 끝에 드디어 파리에 있는 어느 일간 신문 기자 채용 시험을 치러 합격했다. 1928년부터는 파리의 자택에 ‘한국연락처’라는 기구를 두고 한국에 관해 소개하며 유럽에서의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1936년 3월 8일에는 임시정부 국무회의로부터 ‘주법특파위원(駐法特派委員)’으로 임명되었고, 이러한 통보를 받은 서영해는 자신에게 주어진 책무에 대하여 충성을 다할 것을 다짐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 나가겠다고 했다.

해방 후 임시정부 요인과 함께 귀국한 그는 김구, 조소앙, 장건상 등과 고국에서 해야 할 일을 도모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김구 · 김규식이 추진한 남북협상에 기자 자격으로 방북했다.

이런 가운데 1947년 연희전문경성여의전, 이화여전 등에서 틈틈이 불어를 가르쳤다. 그는 당시 일본인이 만든 불어 교재를 모두 버리고 자신이 직접 타자기로 ‘초급 불어’라는 교재를 만들어 가르쳤다.

그는 1948년 부산에서 당시 26세의 경남여중 교사 황순조와 결혼했다. 두 사람은 서울에서 신혼살림을 차렸으나, 이승만의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회의를 느껴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는 작업을 추진했다.

서영해 부부는 1948년 10월 서울을 떠나 프랑스로 가기 위해 중국 상하이에 도착했다. ... 한국인은 모두 억류 상태가 됐고 1949년 11월 정부차원의 막후 협상 끝에 한국행 수송선이 왔다. 그러나 당시 중국 국적의 여권을 가진 서영해는 중국인으로 여겨져 귀국하는 배에 타지 못하고, 이후 소식이 끊어졌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주1되었다.

참고문헌

「서영해 파리대사의 외교투쟁」(양승국,『경향신문』2005.4.18)
국가보훈처(www.mpva.go.kr/narasarang/gonghun)
주석
주1

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 우리나라의 경우 긴급 상황에서 살신성인의 정신을 실천하다가 사망하거나 위급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신을 희생하여 사회 전체의 본받을 만한 모범이 된 사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의 존경을 받으며 덕망을 갖춘 사람에게 준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유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