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고
거문고는 고구려에서 유래된 가로로 눕힌 채 연주하는 현악기로 고정된 괘를 갖고 있다. 고구려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조선시대까지 궁중과 민간에서 두루 사용되었다. 거문고의 '거문(玄)'은 고구려를 뜻하며, '고(琴)'는 현악기의 고어이다. 거문고는 고구려의 현악기로 해석되며, 삼국사기의 현학래무(玄鶴來舞)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다. 거문고의 한쪽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반대쪽은 바닥에 놓고 연주하는 자세의 특징은 온돌 문화가 발달한 고구려의 생활 방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단행본 - 김우진, 『거문고산조』(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 김진희, 『거문고탱고』(민속원, 2007) - 송혜진, 『한국악기』(열화당, 2001) - 김선아, 「창작국악실내악단 공연양식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