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김윤보/형정도첩/목도씌워 연행하다
김윤보/형정도첩/목도씌워 연행하다
조선시대사
제도
죄수의 목에 채우는 형구(刑具).
이칭
이칭
목차
정의
죄수의 목에 채우는 형구(刑具).
내용

보통 ‘칼’이라고 하였다. 칼은 마른 나무널판으로 만든 형틀로 죄수의 목에 씌워 보행을 불가능하게 한 것이다. 칼과 같은 나무형틀로, 손에 채우는 추(杻 : 소칼, 수갑)가 있는데, 이는 발에 채우는 질(桎 : 착고)과 한 벌로 되어 있었다.

죄수에게 가추 등을 채우는 형벌은 당(唐)·송(宋)시대의 옥관령(獄官令)에서 이미 정비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대명률』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여 가를 만들었다.

가의 길이는 5자 5치, 두활(頭闊)은 1자 5치이고, 무게는 사죄인(死罪人)에게 씌우는 것은 25근, 도형(徒刑)과 유형(流刑)은 각 20근, 장죄(杖罪)는 15근이며, 그 규격을 나무칼에 새겨놓았다.

정조 때의 『흠휼전칙(欽恤典則)』에는 길이 5자 5치, 두활 1자 2치이고, 무게는 22근, 18근, 14근으로 각각 규정하여 형을 치르는 자의 고통을 다소 덜어주었다.

칼을 쓰고 추국(推鞫)이나 고신(拷訊)을 받은 죄인을 가수(枷囚)라 하였다. 양반에게는 원칙적으로 칼을 씌우는 것이 금지되었다.

참고문헌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
『흠휼전칙(欽恤典則)』
『朝鮮舊時の刑政』(中橋政吉, 治刑協會, 193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전봉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