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금보 ()

목차
국악
문헌
조선시대 가곡과 기악곡의 반주곡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악보 · 양금악보.
목차
정의
조선시대 가곡과 기악곡의 반주곡을 수록한 악보. 거문고악보 · 양금악보.
내용

인천의 거문고 풍류객이었던 김태영(金兌英)에 이어 이세환(李世煥, 2020년 별세)이 소장하였다. 한글로 표기된 거문고 육보(肉譜)이며, 일부 악곡에는 양금보가 병기되었다.

공책에 철필로 적은 것으로 보아 20세기 전반기의 악보로 추정되고, 표지 제명 그대로 가곡의 반주 음악을 주로 싣고 있다. 그러나 앞부분에는 기악곡인 「평조영산(平調靈山)」과 「여민락(與民樂)」을 거문고와 양금의 육보로 싣고 있는데, 거문고는 오른쪽, 양금은 왼쪽으로 나누어 병기하였다.

「평조영산」은 현행 「평조회상(平調會上)」의 「상령산(上靈山)」에 해당하며, 「여민락」은 초장을 제외하고 2장부터 7장까지만 싣고 있다. 기악곡 부분은 종서로 기보되었으나, 제1행이 각 면의 좌측에서 시작하고 있다. 가곡 반주 부분은 공책의 두 면을 터서 횡서로 적었는데, 각 행은 두 장단이고 공책 한 면이 한 장단에 해당한다.

‘뜰’이나 ‘징’은 숫자(一, 二, 三)를 옆에 적어 구별하였다. 시가(時價)의 표기는 정간(井間)을 사용하지는 않았으나, 공간을 적절히 배열하여 각 음의 시가를 짐작할 수 있게 하였고, ‘싸랭’이나 ‘슬기둥’의 경우는 부호(○, ○)를 사용하여 구별하였다. 가곡 반주 부분에서 가사를 달리하는 여러 가락을 수록한 점에서 이 악보의 음악사료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가곡금보해제(歌曲琴譜解題)」 (최헌, 『한국음악학자료총서』31, 국립국악원, 1995)
집필자
김영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