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기 ( | )

목차
국악
인물
조선후기 「강호가」 · 『낭옹신보』 등을 지은 거문고명인.
이칭
자호(子湖), 자호(子豪), 대재(大哉)
낭옹(浪翁), 어옹(漁翁), 어은(漁隱), 조은(釣隱), 강호객(江湖客)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강호가」 · 『낭옹신보』 등을 지은 거문고명인.
내용

일명 성기(聲起). 자는 자호(子湖, 子豪)·대재(大哉), 호는 낭옹(浪翁)·어옹(漁翁)·어은(漁隱)·조은(釣隱)·강호객(江湖客).

젊어서는 활을 만드는 조궁장(造弓匠)이었으나 거문고를 배워 뛰어난 기량을 보여, 노년에는 서호(西湖)에 배를 띄우고 소일하면서 제자들에게 거문고를 가르쳤다. 당시의 시조작가 김천택(金天澤)과 교분이 있었으며, 자연을 읊은 「강호가(江湖歌)」 다섯 수 등 여덟수의 시조작품이『청구영언』등에 전한다.

특히, 병화로 인하여 전승이 끊어져 부르는 사람이 없던 평조삭대엽(平調數大葉)의 곡을 전하였다. 그가 세상을 떠나자 거문고를 배운 제자 남원군(南原君) 이설(李樆) 등이 스승으로부터 배운 가락들을 정리하여, 1728년에『낭옹신보(浪翁新譜)』를 만들었다. 1779년에 편찬된 『어은보(漁隱譜)』는 『낭옹신보』를 저본으로 필사된 것이다.

참고문헌

『낭옹신보(浪翁新譜)』
『어은보(漁隱譜)』
『악학습령(樂學拾零)』
『청구영언(靑丘永言)』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삼성미술문화재단, 1980)
『한국기인열전』(을유문화사, 1969)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