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헌악보 ()

목차
국악
문헌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세령산」 · 「가락환입」 · 「우락장리음」 등을 수록한 악보.
목차
정의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세령산」 · 「가락환입」 · 「우락장리음」 등을 수록한 악보.
내용

장사훈(張師勛)이 소장하였다가 청주대학교 운초자료관(云初資料館)에 기증하였다. 기보법이나 수록 악곡의 내용으로 보아 20세기의 악보로 추정된다. 수록악곡 중 앞부분의 「상영산(上靈山)」·「중영산(中靈山)」으로 추정되는 부분은 일부 낙장(落張)이 있고, 뒷부분의 「여민락(與民樂)」은 서두의 일부만 기록되었다.

비교적 완전한 형태로 남은 부분은 「세령산(細靈山)」·「가락환입(加樂還入)」·「상현(上絃)」·「세도두리(細道頭裡)」·「하현(下絃)」·「회장(回章)」·「염불(念佛)」·「회장(回章)」·「타령(打鈴)」·「군악(軍樂)」·「양청(洋淸 或云 啓面)」·「양청환입(兩淸還入 或云 文蟹)」·「우조(羽調)」·「본환입(本還入)」 등 ‘갖은 풍류’ 계통의 악곡과, 「우락장리음(羽樂長理音)」·「우락(羽樂)」·「편(編)」·「편락(編樂)」·「한송정편(寒松亭編)」등 가곡 계통의 악곡이다.

이어서 고금론(古琴論)을 비롯한 중국 칠현금과 관련된 기록이 있으며, 말미에 「계면장리음(界面長理音)」·「여민락(與民樂 일부)」 및 양금의 다스름인 「양금다시음(洋琴多時音)」이 수록되었다. 기보방법은 한자로 표기된 거문고 육보이며, 가곡 부분에서는 거문고 선율의 잔가락도 구음(口音)으로 자세히 기보하려는 편찬자의 의지가 엿보인다.

집필자
김영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