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슬갑사 ()

불교
유적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었던 오갑사(五岬寺) 가운데 하나인 사찰.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었던 오갑사(五岬寺) 가운데 하나인 사찰.
역사적 변천

가슬갑사(嘉瑟岬寺)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산에 대작갑사(大鵲岬寺, 현재 운문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오갑사(五岬寺) 가운데 하나이다. 오갑사는 대작갑사를 중심으로 서쪽의 소작갑사(小鵲岬寺), 남쪽의 천문갑사(天門岬寺), 북쪽의 소보갑사(所寶岬寺), 동쪽의 가슬갑사로 구성되었다.

『운문사사적』에는 오갑사가 진흥왕 때 창건되었다고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600년(진평왕 22)에 원광(圓光) 법사가 수나라에서 유학을 마친 후에 돌아와 가슬갑사에 머물렀으므로 적어도 이때보다 앞선 시기에 사찰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원광은 가슬갑사에서 점찰법회(占察法會)를 열고 점찰보(占察寶)를 두었으며,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주었다.

이후 후삼국 시기에 견훤과 왕건이 패권을 다투면서 전란이 격화되었고, 후백제에서 경주로 가는 길목인 청도 지역이 전투의 피해를 보게 되면서 오갑사가 대부분 파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승려 보양(寶壤)이 절을 중창하고 작갑사라고 하였으며, 937년에 태조 왕건의 귀의를 받아 토지 500결(結)과 운문선원이라는 사명(寺名)을 하사받았다. 따라서 현재 운문사를 제외하고 오갑사는 모두 사라졌다.

위치와 기능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운문사 동쪽 9천보 되는 곳에 가서현(加西峴)이 있으며, 현의 북쪽에 가슬갑사가 있다고 서술되어 있으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운문사사적』에 의하면 호거산(虎踞山)의 흉맥을 진압하기 위하여 대작갑사를 세웠다고 한 데서 알 수 있듯이 나머지 네 개의 갑사는 동서남북 갑지에 흉맥을 진압하기 위해 세웠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오갑사는 신라 수도인 경주의 서쪽 방어를 위한 군사, 교통의 요충지에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 가슬갑사의 위치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하천과 관련이 있는 갑(岬)이 될 수 있는 지형적 조건, 점찰법회를 열었던 만큼 교통의 요지이며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는 넓은 장소가 요구되며, 산릉의 흉맥을 진압하기 위해 세운 사찰인 만큼 지맥의 끝이 되는 갑지라는 비보적 조건을 갖춘 곳이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요건을 갖춘 곳은 현재 바깥 삼계리 일원을 비롯한 몇 군데로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오산지(鰲山誌)』
『청도군동호거산운문사사적(淸道郡東虎踞山雲門寺事蹟)』
『청도 가슬갑사지: 정밀조사 보고』(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학연구소, 1997)
『가슬갑사지 지표조사보고서』(경북대학교 박물관, 1993)
「신라 사찰의 사회적 기능과 가슬갑사」(한정호, 『불교미술사학』5, 2007)
「청도 가슬갑사의 입지조건 고찰」(홍광표, 『한국전통조경학회지』4, 2006)
집필자
조명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