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가정유고
가정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조진관의 시 · 소 · 계 · 의를 엮어 1847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조진관의 시 · 소 · 계 · 의를 엮어 1847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5책. 활자본. 간기는 없으나 이 문집에 수록된 역문(易問)에 나타난 연대로 보아 1847년(헌종 13)경에 간행된 듯하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313수, 권3·4에 소 25편, 계 10편, 의(議) 4편, 권5에 서(序) 7편, 기 3편, 서후(書後) 4편, 게(揭) 1편, 옥책문(玉冊文) 2편, 상량문 2편, 악장(樂章) 1편, 사(辭) 2편, 제문 10편, 권6∼8에 묘표 5편, 묘갈명 1편, 묘지명 5편, 비명 4편, 시장(諡狀) 5편, 전(傳) 1편, 장(狀) 2편, 권9에 역문 상으로 자서(自序)·태극문(太極問) 등 13개문, 권10에 역문 하로 5개문의 논설과 3개의 도(圖)가 있다.

「서향약후(書鄕約後)」에서는 종래의 향약과는 견해를 달리하여 조혼의 폐단을 지적하고, 이것을 법적으로 막아야 하며, 향약 중에 제1조로 삽입하여 국민을 계유하자고 주장하였다. 「역문」은 『주역』의 각종 문제를 18개 조목으로 분류하여 논의한 것으로 역학연구에 도움이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